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이슈

아이폰7에는 세가지가 없다

아이폰7에는 세가지가 없다



모습을 드러낸 아이폰7에는 세가지가 없었다. 이어폰잭과 누르는 홈버튼, 그리고 혁신성이다.

한국시간 8일 새벽 2시, 미국 샌프란시스코 현지시간 7일 오전 10시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공개한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의 모습은 루머로 돌던 내용과 일치했다.

영국 미러지와 미국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7 등에서 이어폰잭을 없애고 대신 라이트닝 커넥터를 채택했다. 동시에 무선이어폰인 '에어팟'을 선보였다. 자체 개발한 W1 무선칩이 들어있어 아이폰 7과 연결된다. 애플은 곧 비슷한 성능의 헤드폰도 출시할 예정이다.

홈버튼은 외견상 큰 변화가 없어 보인다. 아이폰의 상징이었던 원형 홈버튼 그대로다. 하지만 누르는 방식이 아니다. 센서를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외견상 가장 큰 변화는 뒷면에 있다.

아이폰7 플러스에는 듀얼렌즈 카메라가 달렸다. 한쪽은 광각용, 다른 한쪽은 망원용이다. 듀얼렌즈가 없는 아이폰7도 망원기능과 렌즈의 밝기가 크게 개선됐다. 애플 스스로도, 외부에서 평가하기에도 카메라 성능은 이번 아이폰7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이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애플은 새 아이폰의 방수와 방진 기능을 강화하고, 저장용량을 2배로 늘렸으며, 배터리의 시간도 2시간 정도 늘리는 등 기능을 개선했다. 하지만 경쟁업체들이 이미 이룩한 기능 향상이라 '늑장 개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무선시대를 겨냥한 무선이어폰은 사용자의 편리를 고려하지 않은 '불편한 개선'이라는 혹평까지 나오고 있다.

결국 카메라 기능의 향상이 그나마 이번 새 아이폰에서 돋보이지만 이는 한발 앞서 발표된 LG V20 역시 막강한 성능을 자랑하는 부분이다. LG가 실용성으로 제품의 방향을 선회한 것처럼 혁신이 사라진 애플 역시 실용성에 눈을 돌렸다는 평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