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는 노동조합과 올해 임금·단체협약 협상에서 잠정 합의를 도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작년 노사 대타협에 이어 2년 연속 무분규 합의다.
지난 7월 11일부터 본격적인 임단협 협상을 시작한 노사는 실무협상 9회, 본협상 5회를 실시했다. 노조는 기본급 7만5000원, 임단협 타결 격려금, SM6, QM5 출시격려금 등을 요구하였고, 회사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전제로 회사안을 제시하여 노사는 임금 협상을 진행해 왔다.
결국 노사는 기본급 3만1200원 인상, 생산성 격려금(PI) 150%, 이익배분(PS) 선지급 200만원, 인센티브 750만원(임단협 타결금 400만원·신차 출시 격려금 300만원·경쟁력 강화 격려금 50만원) 등에 합의했다.
또 사무직군 임금 인상액 중 평가 인상분 반영 비율을 45%에서 100%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대체휴일 적용과 통상임금 지급항목을 확정하는 등 단체협약 17개 항을 손봤다.
르노삼성은 "신차 출시에 따른 직원들의 노고에 대한 격려와 회사의 글로벌 경쟁력 유지를 감안한 노사의 대승적인 이해와 결단, 노사가 함께 상생한다는 명확한 비전 공감이 끌어낸 결과"라고 평가했다. 또 "회사가 어려울 때 고통을 분담하고 회사가 성과를 낼 때 직원들에 보답할 수 있는 문화를 국내 자동차 업계 중 가장 모범적으로 정착시켰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원의 찬반 투표는 7~8일 실시 예정이며, 노사는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 협상을 추석 전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로써 르노삼성은 올해 고객들로부터 큰 반응을 얻고 있는 SM6, QM6의 생산 및 판매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반면 현대자동차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 잠정합의안 부결 이후 지난 5일에 이어 6일에도 파업을 진행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회사는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이 이날만 3600대에 800억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지금까지 노조의 16차례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은 8만3600여 대에 1조8500여억원이다.
현재까지 국내 완성차 5개사 중 르노삼성과 쌍용차만 임단협을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