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그동안 외부신용평가기관(TCB)에서만 가능했던 기술평가 업무를 자체적으로 실시하게 됐다.
신한은행은 30일 금융위원회로부터 '기술신용대출 정착 로드맵'에 따른 레벨2 인가를 받음에 따라 앞으로 기술평가 업무를 은행 내 전문인력과 시스템을 통해 자체적으로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로드맵은 총 4단계로, 신한은행은 올해 초 레벨1 인가 이후 6개월 만에 레벨2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신한은행은 하반기부터 자체 기술신용평가를 통해 직전 반기 기술금융대출 공급액의 20%까지 기술금융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2013년 7월 시중은행 최초로 기술금융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제도와 기업의 성장단계별 상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자체 평가역량 강화를 위해 지금까지 공학박사, 변리사 등 10명의 전문 인력을 확보했다.
또 기술평가모형을 새롭게 업그레이드하고 평가서 품질관리를 위한 자체 검수체계와 기술평가 전 과정에 대한 전산화 구축도 완료했다.
신한은행이 보유한 인력과 기술평가 전산화 등을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서는 지식재산권(특허권, 실용신안권 등) 출원과 관리에 대한 IP컨설팅 서비스도 지원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의 기술금융대출 지원실적은 올 6월말 기준 1만6356개 기업에 12조8000억원으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은행 내 자체 기술평가를 통한 전문성 확보로 신기술, 신성장산업 중심의 직간접 투자 활성화 등 질적 성장 위주의 기술금융 지원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체계화된 기술평가시스템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기업들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