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시간 OECE 중 두번째…시간당 임금은 OECD 평균의 67%
OECD의 취업자 1인당 연간 평균 노동시간(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조사결과 /OECD 홈페이지 자료화면
지난해 우리나라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두번째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OECD의 '2016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취업자 1인당 평균 노동시간은 2113시간으로 멕시코의 2246시간 다음으로 길었다.
OECD 회원국 34개국 평균은 1766시간, 한국의 취업자들은 평균보다 347시간 더 일한 것이다. 법정 노동시간이 8시간, 한달 평균 22일 일하니 한국 취업자는 지난해 평균보다 두 달 더 일한 셈이다.
멕시코와 한국 다음으로 노동시간이 긴 나라는 그리스로 2042시간, 이어 칠레 1988시간, 폴란드 1963시간 순이었다. 반면 가장 짧은 나라는 독일로 1371시간에 그쳤다. 이어 네덜란드 1419시간, 노르웨이 1424시간, 덴마크 1457시간, 프랑스 1482시간, 룩셈부르크 1507시간 순이었다. 일본은 1719시간, 미국은 1790시간이었다.
한국은 노동시간은 길었지만 임금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지난해 한국 취업자의 평균 연간 실질임금은 3만3110만 달러로 OECD평균인 4만1253 달러의 80%에 그쳤다. 시간당 실질임금을 계산하면 더 떨어지게 된다. 한국은 15.67 달러 수준으로 평균인 23.36 달러의 67% 수준이었다.
일본의 경우 연간 실질임금이 3만5780달러, 시간당 실질임금은 20.81 달러였다. 미국은 연간 실질임금 5만8714 달러, 시간당 실질임금 32.80 달러였다. 독일은 연간 실질임금 4만4925 달러, 시간당 실질임금 32.77 달러였다.
OECD 회원국 중 시간당 실질임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룩셈부르크로 40.06 달러였다. 이어 스위스 36.73 달러, 노르웨이 35.75 달러, 네덜란드 35.71 달러, 덴마크 34.33 달러였다. 미국과 독일은 다음 순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