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가 지난 분기(4~6월) 제로 성장을 기록했다. 이마저도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따른 주택투자 증가와 정부의 공공투자에 힘입은 결과다.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이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는 젊은 세대가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지갑을 닫은 결과로 분석된다.
15일 일본 내각부가 발표한 지난 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예비치)은 물가 변동을 제외했을 때 전분기 대비 0.048% 증가했다. 물가 변동을 반영했을 때는 0.2% 증가했다.
CNBC를 비롯한 외신들은 "제로 성장"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본의 수출이 감소하고 기업 투자가 위축된 와중에도 (마이너스 성장이 아닌) 성장 정체가 나타났다"며 "일본이 여전히 정부의 성장 촉진 정책에 의존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실제 일본 정부의 개입이 없었다면 일본 경제는 지난 분기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NHK에 따르면 일본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개인 소비'는 고용 증가와 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기업의 설비투자'는 0.4% 감소하고, 수출도 0.3% 감소했다.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모기지 금리가 하락해 주택투자가 5.0% 크게 늘고, 일본 정부의 공공투자까지 더해졌지만 결국 '제로 성장'에 머물렀다.
NHK는 "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견인차로 기대됐던 개인 소비의 침체가 영향을 주고 있다"며 "통계상으로는 고용과 임금이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젊은 세대가 소비를 억제한 결과 소비의 확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올해 경제재정백서에 따르면 2030세대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수중의 돈을 저축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이달 새로운 경제 대책에 육아 지원이나 연금을 받을 수 없는 사람 줄이기 시책 등을 포함시켰지만, 이것이 소비 침체의 배경에 있는 '미래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을지, 그 실효성이 추궁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이날 이시하라 이시하라 노부테루 일본 경제 재생 담당 장관은 개인 소비 침체에 대해 "4월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 외에도 육아 세대나 저소득층 사이에 경제에 대한 불안심리가 강한 것이 요인으로 생각된다"며 "새로운 경제 대책을 제대로 실시하고 내수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장관도 개인 소비 침체에 대해 "경제 대책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대책과 구조 개혁에 주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