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동남아에서 미주까지...은행들 해외시장서 활로 모색

지난달 15일 신한은행 시드니지점 개점식에서 왕태욱 신한은행 부행장(사진 오른쪽에서 세번째)과 내외빈이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이기형 신한은행 시드니지점장, 백승국 시드니 한인회장, 스튜어드 에이어스 NSW주 통상장관, 윤상수 주호주 시드니 총영사, 왕태욱 신한은행 부행장, 워윅 스미스 ANZ은행 상무, 푸에이 심 호주 건전성 감독청 국장./신한은행



은행들이 나라 밖에서 먹거리를 찾고 있다. 해외 투자 기회를 확보하거나 현지법인 신설을 추진하는 등 활로가 다양하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5일 호주 시드니지점을 열었다. 시드니 지점은 신한은행의 143번째 글로벌 네트워크다.

세계에서 6번째로 넓은 호주는 선진 금융시장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한국은 호주의 제4위 교역국으로, 지난 2014년 12월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교류가 더욱 활발해졌다.

이에 신한은행은 태평양 핵심 거점인 호주로 진출할 필요성을 느꼈다. 신한은행은 시드니 지점을 계기로 태평양지역까지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히고 있다.

이날 개점식에 참석한 왕태욱 신한은행 부행장은 "호주 금융시장은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흔들림이 없을 정도로 탁월한 리스크 관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기업과 동포들은 물론 현지 고객에게도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호주 투자은행(IB)시장에도 참여해 호주 경제와 금융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시드니지점 개점으로 20개국 143개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뿐만 아니라 태평양 주요 거점지역까지 진출하게 되어, 본격적인 아시아-태평양 금융벨트 완성에 한걸음 다가서게 됐다"고 말했다.

◆ "지점에 만족 못해" 현지 법인 가승인

지점에 만족하지 않고 현지 법인을 세우는 곳도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2일 베트남 중앙은행으로부터 현지법인 신설 관련 가승인을 받았다.

현재 우리은행은 하노이와 호치민에 지점이 있다. 그러나 이번 가승인으로 현지영업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우리은행은 오는 10월 하노이에 현지법인을 신설한 뒤 채널과 상품을 다양화하는 등 적극적인 현지영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의 목표는 베트남 외국계은행 가운데 선두권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영업망을 강화를 위해 법인설립 첫해에 3개, 이듬해부터 매년 5~7개 네트워크를 세워 단기간에 20여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베트남 현지법인은 리테일 영업 강화를 위해 경쟁력 있는 상품 라인업을 구상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2017년 상반기에 우리카드와 함께 베트남 현지 신용카드 시장에도 진출한다. 현지 고객기반 확대를 위해 부동산담보대출과 우량고객 신용대출, 방카슈랑스 등을 연계해 종합금융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우리은행 모바일 플랫폼 '위비뱅크' 등도 현지에서 확대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가승인 받은 법인은 통상 1~2개월 내에 본인가를 획득한다"며 "2013년 9월 베트남 중앙은행에 설립신청서를 제출한 한 후 3년 만의 쾌거"라고 말했다.

◆ 중남미에서 은행사업 확대

하나금융그룹은 중남미를 공략하고 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프랭클린 템플턴 그룹과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랭클린 템플턴 본사에서 업무 협력 협약을 맺었다. 두 회사는 중남미를 중심으로 전략적 협력을 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앞으로 하나금융그룹은 프랭클린 템플턴 그룹내 '다비(Darby)'사 등 자회사들과 크게 다섯가지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중남미 지역 대출 등 은행사업 확대 ▲중남미 지역 은행과 금융회사 대상 투자기회 발굴 ▲유럽과 미국 부동산 투자 관련 협력 ▲이머징 마켓 내 합작회사 설립기회 모색 ▲중남미 지역 대상 펀드 투자 참여 등이다.

프랭클린 템플턴 그룹은 35개국에 네트워크를 갖춘 자산운용사다. 지난 6월말 기준 약 843조원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24개국에 네트워크 142개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까지 그룹내 글로벌 이익 비중 40%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 KB, 중장기 관점서 암중모색

해외 진출을 중장기적으로 모색하는 곳도 있다. KB금융그룹의 비전은 '아시아 금융을 선도하는 글로벌 금융그룹'이다. 향후 성장성이 높은 동남아시아 국가 등에 신규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KB는 지난 1월부터 '그룹 글로벌위원회'를 정기적으로 열고 있다. 계열사간 협업으로 효율적인 해외사업 추진을 위해 그룹 글로벌 관련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한다.

KB국민은행은 최근 현지 은행과의 협력 강화로 동남아 진출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4월 미얀마 주택건설개발은행(CHDB)에 주택금융과 정보기술(IT) 노하우를 전수 한 것이 대표적이다. 또한 인도 뭄바이와 베트남 하노이 사무소를 지점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현재 일본과 중국 등 11개국에 18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해외 은행·증권 통합금융회사(CIB) 사업 확대도 검토하고 있다. 인프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문에서 아시아 시장과 전략적 타겟시장인 홍콩과 런던, 뉴욕 등에 선별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