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이 나왔다. 호봉제를 폐지하고 연봉제를 도입하기 위해 '페이밴드(Pay Band)'를 운영하고, 전체연봉의 차등폭을 점진적으로 40%까지 확대한다. 일반직원도 개인성과와 역량에 따라 기본급 인상률을 최소 1%포인트 이상 차등 설정한다.
은행연합회는 21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민간 은행 성과연봉제 도입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14개 민간 은행과 공동으로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마련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은행별로 경영전략과 인사정책 등이 달라 은행권 공동의 구체적인 성과연봉제 도입 지침을 마련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구체적인 지침 수립의 근거가 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가이드라인은 크게 '평가제도 가이드'와 '보상제도 가이드'로 나뉜다.
'평가제도 가이드'에서는 평가등급 산출 관리 강화와 면담 등이 담겼다.
개인평가는 업무실적을 평가하는 성과평과와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역량평가로 구성하고, 개인 성과평가는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 목표합의에 기반한 MBO(Management by Objective) 방식 적용 권장한다.
평가 방식은 개인평가의 보상 연계를 위해 평가등급 산출 관리를 강화하고 평가등급 수는 5개 이상, 등급별 인원 비율은 최소 5% 이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개인평가 결과는 피평가자에게 반드시 공개하고, 중간점검·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 면담을 의무화한다.
'보상제도 가이드'에서는 전체연봉의 차등폭 확대, 기본급 인상률 차등 등이 제시됐다.
우선 호봉제를 폐지하고 연봉제 도입을 위한 '페이밴드(Pay Band)'를 운영한다. 최하위 직급의 연봉제 도입을 추진하되, 기존 호봉제의 문제점인 임금의 자동 상승에 대한 억제 대안을 반드시 도입하는 것이 골자다.
전체 연봉의 최고-최저 차등폭을 평균 20~30% 이상으로 운영하며, 향후 4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부부점장 이상의 관리자는 30% 이상, 일반직원은 단계적으로 20% 이상 확대한다.
기본급은 연공에 따른 자동 인상을 최소화하고, 개인성과와 역량에 따라 인상률을 차등 운영한다.
개인별 인상률은 전년도 평가 등급에 따라 산정하며, 관리자는 평균 3%포인트 이상 차등하고 일반직원은 최소 1%포인트 이상 차등 설정을 권장한다.
전체 연봉 중 성과급의 비중은 관리자는 30% 이상, 일반직원은 20% 수준으로 점진 확대하고, 평가에 따라 최고-최저 평가 등급자 간 성과급 차등폭은 최소 2배 이상으로 설정한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민간 은행은 본 가인드라인을 기준으로 각 행의 현황, 노조, 직원과의 협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금번 가이드라인이 민간 은행에 성과주의 문화를 확산하고 성과연봉제 도입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참여한 민간은행은 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국민·한국씨티·수협·대구·부산·광주·제주·전북·경은행 등이다. 금융공공기관의 경우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근거해 금년 상반기 중 성과연봉제 도입을 완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