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직거래 사이트에서 발생한 사기 사례 자료=금융감독원
>
#최근 자금이체를 이용한 적이 없는 A씨는 자신의 계좌에서 누군가에게 상품권 결제대금을 보낸 사실을 알게 됐다. 알고 보니 A씨는 사기범이 유도한 가짜 사이트를 통해 계좌번호와 보안카드 번호 등을 유출 당한 것. 사기범은 다른 사람의 아이디를 도용해 A씨 계좌의 돈을 상품권 판매자에게 송금하고, 판매자에게 상품권을 받아 챙겼다.
상품권 직거래 시 파밍이나 ID도용 등으로 인한 금융 사기 피해가 늘고 있어 금감원이 주의를 촉구했다.
금융감독원은 15일 온라인 직거래 사이트에서 상품권을 직거래하면서 상품권 판매자와 거래자 모두 피해를 입는 금융사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사기 수법은 주로 파밍과 ID도용이 이용됐다.
파밍은 이용자의 PC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가짜 시아트로 유도한 뒤 계좌번호·비밀번호·보안카드 등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사기 방법이다.
금감원이 접수한 사례에 따르면 사기범이 온라인 직거래 사이트 이용자의 ID를 도용해 상품권을 구매하면서, 파밍을 통해 제3자의 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로 대금을 이체했다.
파밍을 당한 피해자가 신고를 하면서 상품권 판매자의 계좌가 지급 정지되는 피해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 같은 사기 수법은 금감원에 총 8건 접수됐으며, 해당 사이트에도 피해 사례가 다수 게시되는 등 피해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금감원은 대포통장 근절대책 등으로 대포통장 확보가 어려워지자 신종 금융사기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의 파밍은 사기범이 인터넷 이용자의 금융정보를 탈취해 대포통장으로 자금을 이체, 인터넷 이용자에게 피해를 입히는 수법이었다.
그러나 대포통장 규제가 심해지면서 기존 파밍수법에 '꽃집사례'와 유사한 수법을 결합한 신종 금융사기로 진화했다는 분석이다.
'꽃집사례'는 사기범이 꽃집에 10만원짜리 꽃다발을 주문하고 피해자에게 100만원을 꽃집으로 송금하게 한 후 꽃집에서 90만원을 찾아간 사례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본건이 발생한 사이트에 관련 안내문을 게시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거래상대방이 보낸 메시지의 IP가 중국 등 해외 IP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토록 했다.
아울러 온라인 직거래 사이트 이용이 활발한 청년층을 대상으로 피해사례와 예방대책을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인터넷 접속 시 보안강화 등을 명목으로 계좌번호 등을 요구하면 악성코드에 노출된 것"이라며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문의하는 등 악성코드 제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상품권 판매자는 급박하게 대량구입을 원하는 등 의심스러우면 경찰청사이버안전국 사이트를 통해 거래상대방 전화번호 등에 대한 사기피해 신고여부를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