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글로벌 금융, 하반기 조직 정비·전략회의 나서…인터넷전문은행 대비 '수익성 강화' 관건
'사상 초저금리(연 1.25%), 순이자마진 역대 최저(1.55%), 점포 축소(-100개)….'
올 상반기 저금리·저성장 기조에 은행권은 암울했다. 순이자마진(NIM)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조선·해운업 부실대출로 충당금 공포에 휩싸였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까지 발생,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의 늪에 빠졌다.
이에 은행들은 하반기 '수익성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은 연내 출범하는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 등에 대비해 조직 정비를 서두르고 경영 전략을 세우고 있다.
(왼쪽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본점
◆시중은행, 조직정비 서둘러…수익성 제고 '총력'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EB하나·우리·KB국민은행은 이달 초 하반기 정기 인사를 마무리했다. 이들 은행은 예년보다 2주 정도 앞당겨 조직정비를 마쳤다. 격변하는 금융 환경에 선제적 대응하기 위해서다.
우리은행은 지난 4일 '모바일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둔 인사를 실시했다. 이를 위해 위비 관련 사업을 총괄하는 스마트금융사업본부 산하에 '플랫폼사업부'와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정보를 활용하는 '빅데이터추진팀'을 신설했다.
다음날인 5일엔 KB국민은행이 인사(70명)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에서는 성과가 우수한 여성 기업금융 인력을 본부장과 부서장 인사에 포함했다. '영업력 강화'에 방점을 둔 셈이다. KB국민은행은 성과와 효율을 목표로 영업점 중심의 마켓 경쟁우위 확보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8일 전산통합 후 처음으로 정기 인사(193명)를 진행했다. 통합 직후인 만큼 '조직의 융합'이 최우선 과제로 뽑혔다. 아울러 구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갖고 있던 장점을 바탕으로 영업력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신한은행도 지난 10일 부서장급 34명에 대한 정기 인사를 했다. IBK기업은행은 14일 부행장을 비롯해 1700명에 대한 승진·인사를 단행했다.
새로운 인사들로 조직 정비를 마친 은행들은 내주 경영전략회의를 통해 전열을 다질 계획이다. 조직 개편에서 드러나듯 은행들의 하반기 경영전략은 '수익성 강화'에 집중될 전망이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이달 초 정기조회에서 영업력 강화와 개인 성과평가제 도입을 하반기 핵심 과제로 정했다. 권선주 IBK기업은행장도 지난달 하반기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수익성 강화, 철저한 건전성 관리 등의 과제를 주문했다. 다음 주 경영전략회의를 가질 우리은행과 하나금융지주에서도 비슷한 맥락의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방점은 '영업력 확대'…모바일 서비스로 공략
하반기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을 예고한 만큼 은행들의 '모바일 전쟁'이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통합멤버십 서비스와 보안 인증 수단의 간편화 등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기반으로 이용하는 통합멤버십 서비스는 하나금융에서 먼저 시작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10월 '하나멤버스'를 출시한 이후 가입자수 500만명을 넘어섰다. 은행·카드·증권 등 하나금융그룹 계열사에 쌓인 포인트를 통합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신한금융지주도 7개 그룹사와 운영하는 통합 멤버십 서비스 '신한 판(FAN) 클럽', 우리은행은 우리카드와 포인트를 통합해 사용할 수 있는 '위비멤버스'를 내놨다. KB금융지주도 비슷한 서비스인 'KB멤버스'(가칭)를 하반기 중 선보일 계획이다.
연말 인터넷전문은행이 본격 출범하면 통합멤버십 경쟁은 더욱 과열될 전망이다. 카카오뱅크는 카카오뱅크는 예금 이자를 포인트로 제공해 음악(멜론)·이모티콘(카카오프렌즈) 등을 사는 '유니버설 포인트'를 준비 중이며, K뱅크도 통신사(KT)·유통사(GS리테일) 포인트를 통합한 멤버십을 출시할 계획이다.
보안 인증 수단의 간편화로 금융거래의 활용도도 높인다. 최근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공인인증서나 보안카드 없이 스마트폰 앱 하나로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는 '스마트보안카드' 서비스를 도입했다. 실물 보안카드와 이체 한도 등 똑같은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어 금융거래의 접근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에 수익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하반기에는 영업력을 강화해서 수익성을 높이는 수밖에 없다"며 "이미 금융거래가 모바일로 옮겨간 만큼 모바일 서비스를 강화하고 그 밖에 새로운 사업을 찾아나서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