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부동산펀드 환매 중단 사태…"서브프라임의 망령이 떠돈다"
브렉시트 여파로 불안에 떨고 있는 런던 상업지구의 모습. 사진=뉴시스
>
"운명의 날(fateful day) 이후 9년이 지난 지금 스퀘어마일에 베어스턴스의 망령이 배회하고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6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부동산펀드 환매 중단 사태를 전하며 이같은 표현을 썼다. 스퀘어마일은 런던의 금융가다. 운명의 날이란 서브프라임모기지론 사태의 전조로 2007년 여름에 발생한 월가 투자은행 베어스턴스의 위기를 가리킨다. 월가 투자은행 서열 5위였던 베어스턴스가 투자자들의 환매를 중단한 사건이다. 이를 시작으로 베어스턴스는 몰락하더니 2008년 결국 파산했고, 경쟁자였던 리먼브라더스마저 무너지면서 전세계에 금융위기를 불러왔다.
현재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인한 영국의 금융위기를 서브프라임모기지론 사태와 비교할 수는 없다. 2008년 당시에 월가는 금융부실의 규모조차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위기는 광범위하고 파괴적이었다. 월가는 전세계의 돈을 끌어모아 주택담보대출 상품들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텔레그래프는 "당시 금융위기에서 살아남은 투자자들은 영국 부동산펀드 환매 중단에 전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태 진행이 서브프라임모기지론 사태를 따라가고 있어서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영국 부동산 투자의 절반 가까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몫이었다. 브렉시트로 영국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자 이 투자자들은 일제히 투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했다. 바로 '펀드런'의 조짐이다. 투자자에 돌려줄 자금이 부족해진 투자사들은 하나씩 환매중단을 선언했다. 4일 영국내 업계 3위인 스탠다드라이프가 환매 중단을 발표했고, 5일에는 업계 1위인 M&G와 주요 투자사인 아비바가 뒤를 따랐다. 시장에서는 다른 투자사들의 가세를 우려하고 있다. 그만큼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이야기다.
불안에 떠는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각국 국채로 몰려들고 있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각국 채권의 수익률은 역대 최저치 기록을 경신 중이다. 특히 일본의 20년물 국채는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대로 진입했다. 이익은커녕 돈을 내고서라도 일단 위험을 피하고싶다는 심리가 작용했다. 이미 마이너스대로 들어서 있던 10년물 일본 국채는 6일자로 사상 최저치인 -0.275%를 기록했고, 30년물 국채도 마이너스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