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금융사간 연계 자산·부채 '눈덩이'…글로벌 위기 재현될까?

금융회사 간 연계된 자산·부채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간 연계된 자산·부채 규모가 증가하면 개별 금융기관의 손실이 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될 위험성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자산·부채 연계 규모는 지난 3월 말 현재 430조원으로 금융권 총자산의 7.8%를 차지했다.

금융권의 자산·부채 연계는 금융사가 발행한 금융채, 환매조건부채권(RP),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등 시장성 금융상품을 다른 금융사가 인수한 것이다.

자산·부채의 연계 규모는 지난 2010년 말 308조원에서 2013년 359조원으로 계속 늘다가 2014년 404조원으로 45조원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17조원 늘어난 421조원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으나 올해는 3개월 사이에 9조원이나 불었다.

금융권 간 연계된 자산·부채가 급증하면 개별 금융기관의 손실이 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될 위험성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2008년 벌어진 글로벌 금융위기다.

글로벌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부실이 파생금융상품인 부채담보부증권(CDO)을 많이 보유한 대형 투자은행(IB)의 부실로 전이되면서 비롯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3년 카드사들의 대규모 부실채권이 은행 등 금융업계 전반에 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현재 금융권의 자산·부채 연계 수준은 금융시장 규모에 비춰볼 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금융권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상호연계 비중은 2014년 말 8.3%, 지난해 말 8.0%, 올해 3월 말 7.8%로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규모별로 은행 간 거래는 축소되고 증권사·보험사·상호금융·여신전문금융회사 등 비은행금융기관이 연계된 자산·부채는 확대되고 있다.

올해 3월 말 은행 간 연계된 자산·부채 규모는 54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말(58조4000억원)보다 3조6000억원(6.2%) 줄었다.

반면 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 간 연계된 자산·부채는 같은 기간 237조5000억원에서 251조2000억원으로 12조7000억원(5.3%) 증가했다.

비은행금융기관 간 규모는 작년 말 124조9000억원에서 123조7000억원으로 1조2000억원(1.0%) 감소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금융권 총자산에서 자산·부채의 연계 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금융시장 내 위험은 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 간 상호연계 규모가 확대된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