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최근 일각에서 제기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상승을 위한 자본확충 필요성 등의 논란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우리은행은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BIS비율이 9월 말이면 타행 수준인 14%대까지 오르게 돼 우려할 상황이 아니며 자체적인 자본확충 계획을 통해 증자 없이도 자본건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말 기준 우리은행의 BIS비율은 13.55%다. 우리은행은 조만간 카드내부등급법이 승인되면 위험가중자산이 줄어들어 BIS비율이 약 0.5% 상승해 14%대로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량자산 비중과 저비용성 예금 확대를 통한 수익성 증대,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하면 9월말까지 BIS비율은 14.1%, 기본자본비율 11.0%, 보통주자본비율은 9.0%로 상승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은 8.68%로 추가적 증자 없이 2019년 바젤Ⅲ 규제비율인 8.0%를 상회하고 있다. 국내 신용등급 AAA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인 BIS비율인 12.5~14%, 기본자본비율 10%도 충족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자산클린화 작업을 통해 취약업종에 대한 고정이하 여신을 지난해 30% 가량 감축시켰고 고정이하여신 비율 또한 매분기 감소추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올해 말 타행 수준인 1%대 이하로 낮추고 충당금 적립비율을 높여 잠재 부실요인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난 2014년 지주사 해체로 기존 지주사 산하 자회사를 은행에 편입시켜 BIS비율이 낮아지게 됐지만 지난해부터 순이익 증대 및 우량자산 비중 확대를 통해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존 최대주주인 정부의 증자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자체 재무계획을 통해 충분히 우량 신용등급을 유지할 수 있다"며 "2019년 바젤Ⅲ 도입 이후에도 개선된 수준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지분투자자들의 증자참여는 논의대상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