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은행 브렉시트 관련 대응 현황 일부 자료=은행연합회
>
브렉시트에 따른 금융시장 안정과 실물경제 활성화를 위해 은행장들이 모였다. 브렉시트에 대한 조치로는 외화유동성 점검, 건전성 관리, 실물부문 지원 강화 등이 추진됐다.
은행연합회는 27일 오후 주요 은행장 회의를 개최하고 금융시장 안정과 실물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세부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같은 날 금융위원회가 주관한 '브렉시트 관련 금융권역별 대응체계 점검회의'에 따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열렸다.
하영구 은행연합회장과 사원은행장은 브렉시트 관련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등을 점검하고, 브렉시트가 우리나라 실물경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위험회피 현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현상이 단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철저한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에 따라 각 은행은 브렉시트로 인한 혼란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조치를 내놨다.
우선 은행들은 외화유동성 상황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리스크 완화를 위한 방안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고유동성 자산을 추가로 확보하고 외화부채의 만기구조를 장기화하는 등 가능한 방안들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지속적인 자산건전성 확보를 통해 대외 충격에 대한 완충여력도 충분히 유지할 계획이다.
브렉시트에 따른 실물부문의 영향이 무역경로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달러화, 엔화가치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국내 수입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 무역대금 관련 금융지원 등도 적극 검토한다.
구조조정 기업에 대해서도 현재 추진 중인 자구계획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구조조정 과정에 혼란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여신을 운영한다.
다만 저신용·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차질 없이 이행키로 했다.
이 밖에 각 은행별로 마련된 컨틴전시 플랜을 재점검해 상황 발생 시 즉시 가동을 준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