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의 금융플랫폼 변화와 은행산업의 대웅과제' 워크숍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오프라인 채널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선 탄력근무제, 성과연봉제 등으로 인력과 영업점 운영 전략을 재정립해야 한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은행의 금융플랫폼 변화와 은행산업의 대응과제'를 주제로 열린 워크숍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에 앞서 진 원장은 "핀테크 시대를 맞아 은행이 영업점과 같은 기존의 전통적인 오프라인 영업채널의 효율성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며 "금융감독당국도 오프라인 중심의 현행 감독법규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진 원장은 과거 빌 게이츠가 예견한 "은행업무는 필요하다, 하지만 은행은 필요하지 않다"라고 예견한 문구를 인용해 "최근 국내 은행산업에서도 '와해적 혁신'이라고 부를 수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은행이 오프라인 중심 채널을 효율적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 원장은 "오프라인 채널에 익숙한 고객이 아직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며 "은행은 영업점 등 기존 채널을 급격히 축소하지 못하면서 신규 채널 투자를 신속하게 늘려야 하는 딜레마에 놓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오프라인 채널의 생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탄력근무제, 특화영업점, 성과연봉제 등을 통한 '효율적 재정립'을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채널의 개방과 융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진 원장은 "은행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나 통신·유통업체 등 비금융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거래비용을 낮추고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당국도 비대면 실명확인과 모바일 뱅킹 확대 등 금융플랫폼 변화를 반영해 오프라인 중심의 현행 감독법규 기준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진 원장은 "온·오프라인 채널별로 내부통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채널별 내부통제 관리자를 지정하는 등 은행의 내부통제 기능 강화를 유도할 것"이라며 "디지털 리스크 상시감시 지표를 개발해 새로운 위험요인 발굴과 정보유출 사고 예방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는 은행업계와 핀테크 업체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해 최근 급변하는 금융플랫폼 변화에 따른 감독방향과 활용전략에 관한 논의를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