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6월모의평가] 4교시 국사, 쉬운 난이도에 '과반수 3등급 이상' 예상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2일 실시된 수능 6월 모의평가의 4교시 한국사 영역은 매우 쉬운 난이도로 출제돼 수험생 과반수가 3등급 이상이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스카이에듀에 따르면 이번 모의평가에서 한국사 과목은 기본 개념과 흐름만 이해해도 충분히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쉽게 출제됐다. 전근대 부분(선사시대~조선후기)과 근현대 부분에서 각각 10문항씩 골고루 출제됐으며, 한국사에 대한 시대 구분만 할 수 있으면 충분히 맞출 수 있는 쉬운 난이도로 출제됐다. 예를 들어 신라의 발전을 묻는 2번 문제의 선지를 보면 ○1○3○5은 고려시대, ○2는 조선 시대와 관련된 내용이다. 한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정치사 중심으로 공부하고 어느 시대의 사건인지 정도만 알고 있으면 충분히 고득점을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스카이에듀는 "한국사가 필수과목이 된 첫 해라 난이도에 대한 관심이 컸는데 예상보다도 쉬운 난이도를 보여 수험생 과반수가 3등급(30점) 이상의 등급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문항은 7번, 9번, 14번, 18번, 20번 등이다.
7번은 특정 지역에서 벌어진 시대별 사건 및 유물들을 통해 답을 찾는 문제다. 정치적 사건이나 중요한 문화재가 남아 있는 지명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고, 부산·평양·인천·공주·원산·의주 등에 대해 요약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9번은 고려 시대 승려인 지눌에 대한 문제다. 고려 시대와 관련된 문제가 3문항 출제 됐는데, 문화사(9번)와 경제사(10번)가 출제됐다. 고려와 조선의 문화와 경제를 비교해서 학습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고려의 문화사가 출제된다면 불교와 관련된 문제가 출제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신라의 원효와 의상, 고려시대의 의천과 지눌의 활약을 정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4번은 애국 계몽 운동 단체인 신민회에 대한 문제이다. 또 다른 단체인 보안회(13번 ○3), 대한 자강회(13번 ○5)의 활동 내용과 비교해서 학습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명칭이 비슷한 신간회(14번 ○2)와도 구분 지어 학습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18번은 남북한 최초로 합의한 7.4남북 공동 성명을 찾는 문제이다. 통일을 위한 노력은 반드시 한 문제 출제돼 왔다. 박정희 정부의 7.4남북 공동성명, 전두환 정부의 이산 가족 상봉, 노태우 정부의 남북 기본 합의서, 김대중 정부의 6.15남북 공동 성명, 노무현 정부의 10.4 남북 공동 성명 등을 각 정부 시기별로 정리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20번의 경우 현대 정부가 발전되는 과정에서 전개된 민주화 운동을 묻는 문제도 반드시 한 문제 출제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4.19혁명, 5.18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에 대해서 꼼꼼하게 학습해야한다는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