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이후 동남권 아파트 분양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BNK금융그룹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는 2일 '동남권 지역 건설업 분석' 연구결과를 통해 "기초수급 전망을 고려할 때 지역 건설업계는 2017년 이후 정체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7년 '기초수요대비 아파트공급' 비율은 281.0%로 종전 최고수준을 기록한 2004~2005년을 상회할 전망이다.
동남권 아파트분양 물량은 2002~2003년 중 연간 7만2000호에 달했으나 '기초수요대비 아파트공급' 비율이 최고치를 기록한 2004~2005년부터 급감해 5년간 절반 수준(3만8000호)으로 떨어졌다.
이 같은 기초수급 전망을 고려할 때 지역 건설업계는 현재와 같은 주택건설 중심의 사업구조로는 중기적으로 수익이 정체될 수 있다.
기초수요대비 아파트공급 비율이 이전 최고치를 기록한 2004~2005년 이후 동남권 건설업체의 영업이익은 정체 또는 감소한 바 있다.
BNK금융경영연구소는 지역 건설사들이 부동산시장 경기침체기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려면 주택건설 중심에서 사업 다각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방안으로는 부족한 관광인프라 확충과 함께 대규모 리조트단지 건설·운영을 제시했다.
해외진출은 지역건설업체 규모를 고려할 때 컨소시엄 형태로 통합브랜드를 만들어 진출하는 것이 성공확률을 높일 것으로 판단했다.
지자체에서도 지역 건설업체들이 IoT(사물인터넷), 에너지효율을 높인 그린빌딩 등 첨단기술을 축적하고 건설실적을 쌓을 수 있도록 공공부문 중심으로 발주를 확대하는 등 지원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충기 BNK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해외 건설업체들은 건설중심에서 주거서비스, 시설운영 등으로 수익기반을 확대하고 있다"며 "향후 지역 주택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지역 건설업계도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만드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될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BNK금융경영연구소가 동남권 종합건설업체 61개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업체당 매출규모는 2015년 1024억원으로 2010년(549억원)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났고 영업이익도 31억원에서 99억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최근 3년 연평균 매출액이 1000억원 이상인 대형사의 매출액은 1306억원에서 3062억원으로, 영업이익은 83억원에서 367억원으로 대폭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