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저축은행서 채용 움직임 보여, 계약직·인턴모집도…예대마진 축소 등으로 '채용가뭄' 계속될듯
은행 '채용문'이 서서히 열리고 있다. 시중은행에서 상반기 일반직 채용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특별채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채용의 문을 넓히는 분위기다. 아울러 외국계은행과 저축은행에서도 채용에 시동을 걸어 은행권의 '채용가뭄'이 해갈될 지 기대되고 있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일반직 신입행원 채용을 실시한 신한은행을 제외한 일부 시중은행은 특별채용 등을 실시하며 상반기 채용을 마무리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채용공고를 내고 총 360명 규모의 상반기 일반직 신입행원 채용을 시작했다. 현재는 서류 심사를 완료하고 면접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B국민은행은 지난 3월 올 상반기 경력단절 여성과 특성화고를 합해 150여명을 채용했고, 이번 달 하계 인턴 150명가량을 추가로 뽑을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같은 달 개인금융서비스 직군 140명을 채용했다. 이번 달에는 특성화고 출신자를 대상으로 채용을 실시할 계획이다.
수협은행도 지난달 텔러직군의 신입사원 신청을 받았다. 최종 합격한 신입행원들은 연수원 교육을 받고 6월 초 현업에 배치될 예정이다.
농협은행은 보통 7월과 12월에 채용을 실시하는 만큼 하반기에 채용인원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모집한 신입행원이 이제 막 일을 시작하게 된 시점이므로, 6월께 채용 계획이 나올 것으로 전해졌다.
상반기 채용 셔터문을 내리고 있는 시중은행과 달리 일부 외국계 은행과 저축은행에서는 이달 신입행원 모집에 나섰다.
SC제일은행은 오는 21일까지 리테일 금융센터, 기업금융센터 등 5가지 부문에서 신입사원을 모집한다.
한화저축은행은 오는 24일까지 부천본점 또는 성남지역에서 근무할 신입행원을 모집한다.
SBI저축은행은 이날부터 31일까지 전역장교를 대상으로 채용을 실시한다. 올해 7월 이전 전역 예정인 장교를 대상으로 채용과정에서 우수인재가 많을 경우 인원제한을 두지 않고 선발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은행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채용을 시도하고 있으나, 은행권에 드리워진 '채용절벽'의 그림자는 쉽사리 걷히지 않을 전망이다.
저금리 기조에 따른 예대마진 축소와 비대면 거래 급증 등으로 은행원의 설 자리가 점점 없어진데다, 최근에는 대규모 구조조정에 따른 충당금 부담 등이 걸림돌이기 때문.
시중은행 관계자는 "구조조정 등 단발적인 이슈가 채용 계획에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며 "은행별 인사정책이나 상황 등에 맞게 채용계획을 세우는데 올해 하반기에 채용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