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산업

"5월중 원유 부족사태, 저유가시대 막 내린다" 사우디 버티기 성공하나?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17일 석유공사 평택 석유 비축기지와 가스공사 LNG 생산기지를 방문해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산자부 제공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지난 2년간 계속돼 온 저유가 시대가 5월중 막을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동안 줄기차게 저유가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해 온 골드만삭스가 내놓은 전망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실제 미국에서는 저유가 시대의 주역인 셰일오일 업체들의 줄도산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캐나다,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등 주요 산유국들의 원유 생산도 돌발 악재로 인해 차질을 빚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게는 승전보로 들릴 법하다. 사우디는 극심한 출혈을 무릅쓰고 국제원유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저유가 치킨게임을 주도해 왔다.

17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6일(미국시간) 기준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배럴당 47.72 달러로 지난해 11월 3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런던석유거래소(ICE)에서도 7월물 북해 브렌트유가 배럴당 48.97 달러로 역시 지난해 11월 3일 이후 최고가격에 거래됐다. 중동산 두바이유도 배럴당 45.35 달러에 거래돼 지난해 11월 4일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골드만삭스가 원유공급 부족 사태를 전망한 뒤 일어난 일이다.

유가가 20 달러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해 온 골드만삭스는 이날 정반대의 전망을 내놨다. 이번 달 내 국제원유시장이 공급초과에서 공급부족 상황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면서 유가가 50 달러선을 넘을 것이고, 내년에야 상승세가 멈출 것이라고 경고했다. 골드만삭스는 캐나다와 나이지리아의 원유 감산을 공급부족의 원인으로 꼽았다.

북미 캐나다에서는 앨버타주를 휩쓴 산불이 유전지대까지 번지면서 원유 생산량이 하루 160만 배럴 감소했다. 아프리카 나이지리아에서는 무장반군들이 원유·가스 생산시설과 송유관을 공격해 국제원유시장에서 하루 40만 배럴 이상 공급이 줄었다.

캐나다와 나이지리아에 앞서 중남미 주요 산유국인 베네수엘라는 극심한 경제난으로 인해 국영석유업체가 부도위기에 몰린 상태. 이로 인해 하루 20만 배럴 가까이 원유 생산이 줄었다. 미국에서는 사우디와의 가격전쟁으로 인해 셰일오일 업체들이 줄도산 사태를 맞고 있다. 지난해말 30 달러대로 추락했던 국제원유가격은 올해 들어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지만 도산을 막기에는 너무 늦은 까닭이다. 국제원유가격이 급등했던 이날도 미국내 업계 2위인 샌드리지에너지가 40억 달러의 빚 때문에 파산을 신청했다. 미국에서는 지난주 린에너지가 100억 달러 규모의 빚에 몰려 파산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