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능통장'이라는 기대 속에 출시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70% 이상이 가입액 1만원 이하의 사실상 '깡통 계좌'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이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실에 제출한 'ISA 금융사 가입금액별 계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ISA 출시 후 한 달 간 은행에서 개설된 계좌 136만2800여개 가운데 74.3%의 가입액이 1만원 이하로 나타났다.
100원 이하가 예치된 초소액 계좌도 2만8100여개(2.0%)에 달했다. 이들 계좌 가입액은 총 150만원으로, 계좌당 평균액은 53원에 불과했다.
일부 은행은 ISA 최소 가입액을 1원으로 설정한 바, 1원짜리 계좌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입액이 1000만원을 초과한 계좌는 2만2000여개(1.6%)로 100원 이하 계좌 수보다 적었다.
반면 1000만원 초과 계좌의 가입 총액은 4066억여원으로 전체의 64.4%를 차지했다.
가입액이 100만원을 넘긴 계좌는 3.9%인 5만4400여개로 집계됐다.
투자의 목적 보다는 미미한 액수나마 일단 개설하는 데 의의를 둔 계좌가 훨씬 많은 것이 확인된 셈이다.
앞서 은행권에서는 ISA 도입 초기에 직원의 계좌 유치 목표를 설정하는 등 판촉 경쟁을 벌여 '깡통계좌'를 양산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증권사의 경우 ISA 계좌 3개당 1개가 깡통계좌였다.
출시 한 달간 증권사에서 개설된 ISA는 14만2800여개, 가입액은 3877억여원이다. 평균 가입액은 271만4000여원으로 은행의 6배에 달한다.
하지만 이들 계좌 중 1만원 이하 계좌가 36.4%인 5만2000여개에 달했다.
1000원 이하 계좌는 12.6%(1만8000여개), 100원 이하 계좌는 7.2%(1만200여개)로 집계됐다.
가입액이 1000만원을 넘는 계좌는 1만1600여개로 8.1%에 불과했으나 가입총액은 2126억여원으로 전체의 54.8%를 차지했다.
민병두 의원은 "금융회사들이 과도한 실적 경쟁으로 깡통 계좌가 넘쳐나고 있다"며 "ISA가 진정한 국민 재테크 통장으로 거듭나려면 외양보다는 내실부터 다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