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성신여대, 캠퍼스에 국제조각공원 조성…26일 개막식

성신국제조각공원 전경. 사진=성신여대 제공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성신여자대학교가 창학 80주년을 맞아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캠퍼스에 국제조각공원을 조성한다. 서울 강북구 미아동 성신여대 운정그린캠퍼스 야외공원과 오패산 일대에 조성되는 공원에는 국내외 유명작가 8인의 작품이 설치된다.

성신여대는 오는 26일 운정그린캠퍼스 국제조각공원에서 '성신국제조각전' 개막식과 함께 조각심포지엄을 연다. 동시에 이날부터 6월 24일까지 '성신캠퍼스뮤지엄 2차 특별초대전'도 연다. 국내 최초로 대학 강의실을 개인미술관으로 탈바꿈한 성신캠퍼스뮤지엄은 지난해 개관해 '일상생활 속에서 미술향유의 새로운 관점과 대안을 보여준 모범사례'라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조각심포지엄에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시작으로 중국 현역 최고의 작가들까지 총 9명의 국내외 작가가 참여한다. 국내작가로는 전뢰진(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최만린(전 국립현대미술관장), 정관모(성신여대 명예교수), 전준(서울대 명예교수), 김성복(성신여대 미술대학장) 등 5명, 해외작가로는 마이클 워렌(아일랜드), 리밍(중국 광저우미술대총장), 우웨이산(중국미술관 관장), 인샤오펑(중국 전 동북사범대 학장) 등 4명이 초대됐다.

성신캠퍼스뮤지엄 2차 특별초대전에는 구자승, 김영재, 류민자, 유휴열, 유희영, 전준, 제정자, 최예태 등이 각 2점씩 총 16점이 선보인다. 주로 100호 이상의 대작들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극사실주의 구상회화부터 색면추상, 전통적 미감의 현대적 재해석에서 순수천연의 자연주의 정신성까지 다양한 테마의 통찰력 넘치는 작품들이 선보이는 만큼 한국 현대미술을 개척한 원로 작가들의 진면모를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심화진 총장은 "대학캠퍼스 국제조각공원은 지난 해 많은 성원과 격려를 입은 캠퍼스뮤지엄프로젝트에 이어 미술문화 운동의 확산과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환경 조성이라는 성신의 노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 작업이 될 것"이라며 "현대조각예술을 이끌어 가는 아홉 분의 작품을 아름다운 운정그린캠퍼스 야외공원과 오패산 일부에 전시함으로써, 대학구성원은 물론 지역주민에게도 최고의 문화공원에 머문다는 기쁨과 함께 대가(大家)의 작품과 상시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전뢰진의 '화합'(Mable, 30x30x58cm, 2014) 사진=성신여대 제공

>

최만린의 'O'(Bronze, 160x120x130cm, 2006) 사진=성신여대 제공

>

정관모 '기념비적인 윤목' (Bronze, 90x45x260cm, 1985) 사진=성신여대 제공

>

전준 '소리-탄생과 소멸'(A blue stone, 200x90x50cm, 2015) 사진=성신여대 제공

>

김성복 '바람이 불어도 가야한다' (Obsidian, 150x80x135cm, 2012) 사진=성신여대 제공

>

마이클워렌 'Bronze Arch'(Bronze, 180x60x300cm, 2003) 사진=성신여대 제공

>

리밍 '烈(사나운 말)' (Bronze, 100x240x260cm, 2001) 사진=성신여대 제공

>

우웨이산 '滑雪者(스키 타는 사람)'(Bronze, 94.5x77x168cm) 사진=성신여대 제공

>

인샤오펑 '修正 人(수복된 상궁)No.88'(Bronze, 300x70x220cm, 2010) 사진=성신여대 제공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