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 연비조작 추가의혹…27종 200만대 연비 재측정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미쓰비시자동차가 연비조작을 시인한 경차 4종 62만여대 외에도 생산차의 대부분인 27종 200만대에 대해서 추가로 연비조작 의혹이 제기됐다. 미쓰비시 자동차는 추가의혹 차량에 대한 연비 재측정에 나서기로 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22일 미쓰비시자동차의 기자회견과 공개자료에서 미쓰비시 자동차가 2002년부터 일본의 도로운송차량법 규정과 다른 방식으로 연비를 측정해 온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
문제의 차량은 2002년 이후 일본 국토교통성에 등록된 차량 중 미라지, 샌드위치 D5, 아웃랜더 PHEV 등 3개 차종을 제외한 27종으로 현재까지 판매대수가 200만대를 넘고 있다.
미쓰비시자동차가 채택한 연비측정 방법은 미국의 법령에 정해진 방법과 비슷한 것으로 연비측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일본당국은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날 이시이 케이이치 국토교통상은 "오랜 세월 쌓아올린 일본 브랜드에 대한 신용을 실추시킬 수 있어 (미쓰비시자동차에) 맹렬한 자성을 촉구한다"며 "연비측정의 재검토나 친환경 차량 감세 혜택으로 과거 감면된 세금을 미쓰비시자동차로부터 돌려받을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미쓰비시자동차는 연비측정을 다시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시이 국토교통상은 과거 미쓰비시자동차의 '리콜 은폐' 사태까지 언급하며 문제 차량에 대한 환매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 요구대로라면 미쓰비시자동차로서는 존폐위기를 걱정해야 할 만큼의 타격이다.
일본내에서 미쓰비시자동차에 대한 여론은 악화일로를 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당국도 더욱 미쓰비시자동차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산케이신문은 24일 "국토교통성만이 아니라 경제산업성, 환경성, 재무성, 총무성, 자원에너지청 등 총 6개부처가 미쓰비시자동차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국토교통성은 조작의 실태 해명을 맡았고, 경제산업성은 연비조작과 관련한 전체 사실관계를 보고하도록 미쓰비시자동차에 지시했다. 부품업체과 대리점 등 자동차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환경성은 대기오염방지법과 관련한 정보를 회사 측에 요구했고, 자원에너지청은 문제 차량의 연비가 에너지절약법의 기준을 밑도는지 확인하는 중이다. 재무성과 총무성은 친환경차량에 대한 감세 혜택을 되돌리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