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에 비해 연봉·근속연수 낮아…금융사 42곳 임원 중 여성비율 4% 불과, 일부 '여풍'으로 기대감도
임원 비율 4%, 연봉 차이 4000여만원, 근속연수 11년. 금융권에 종사하는 '여성'의 얘기다. 수치만 봐도 금융권 내 여성의 유리천장이 얼마나 두꺼운지 가늠할 수 있다.
최근 금융사들이 여성인력을 주요 직책에 발탁하면서 '여풍'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으나, 고용안정성이나 임원 비율 등은 여전히 남성에 비해 낮은 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여성은 출산 등 자녀 양육에 있어 중점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남성에 비해 한계가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금융권의 분위기도 점차 변하고 있어 향후에는 여성 임원들도 대거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4대 은행(KB국민·신한·KEB하나·우리) 여성 은행원의 비애 자료=각 사 사업보고서
>
◆여성 은행원의 비애…연봉도 근속연수도 낮아
은행권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의 절반 수준, 근속연수도 7년 가량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말 여직원 평균 연봉은 6000여만원으로, 전체 평균 임금(8175만원)에 73% 수준에 불과했다.
반면 남성 평균 연봉은 1억375만원으로 전체 평균 임금보다 2000만원, 여성 평균 임금보다 4000만원 가량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인력이 전체의 49% 가량으로 사실상 남녀 고용비율이 같다는 점을 고려하면 급여 격차가 심한 편이다.
급여 격차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근속연수'를 꼽을 수 있다.
4대 은행에 근무하는 여성의 근속연수는 평균 11.4년으로, 남성(18.7년)보다 평균 7년 가량 적었다.
은행은 호봉제 급여 체계를 따르기 때문에 근속 연차가 높아질수록 급여 상승폭이 커지는데, 여직원들은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일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속 연차가 길지 않다
금융위원회의 '2015년 금융인력 기초통계분석 및 수급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이상 장기 근속자의 비율을 보면, 남성은 절반을 넘는 50.8%에 달하는 반면 여성은 35.4%에 그쳤다.
계약직 창구직 텔러에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점도 급여 격차의 원인 중 하나다.
은행의 시간제 일자리의 95%는 여성이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 중 81.4%는 연 1000만~2500만원 수준의 급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 임원 '하늘에 별 따기'
은행권에서 여성 임원(부행장급 이상) 또한 찾아보기 힘들다.
현재 국내 7개 은행(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씨티·SC)의 여성 임원은 6명에 불과한데, 외국계인 씨티와 SC은행을 제외하면 KB국민은행의 박정림 여신담당 부행장이 유일하다.
여성 임원 '희귀' 현상은 제2금융권과 금융공공기관에서도 마찬가지다.
10개 금융공공기관(한국투자공사, 기술보증기금,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등)의 여성 임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명(3.2%)에 불과하다.
전국사무금융노조가 보험사, 증권사 등 노조 산하 제2금융권 40개 회사를 대상으로 표본 조사한 결과, 전체 임원 670명 가운데 여성임원은 4.3%(29명)에 그쳤다. 부서장급 이상 관리자도 전체 2636명 중 164명 뿐이다.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긴 하지만, 금융권 내 '여풍'의 물꼬가 조금씩 트이는 분위기다.
금융감독원은 출범 17년 만에 처음으로 내부 승진자 출신 여성 부서장(이화선 기업공시제도 실장)을 배출했다.
산업은행도 정기인사에서 박윤선 한티지점장을 최연소 지점장으로 발탁했고, 핵심 보직인 홍보팀장과 연수팀장에도 처음으로 여성을 임명했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연말 인사에서 창립 이후 처음으로 임원급인 여성본부장 권미희 부산은행 남부영업본부장을 배출했다.
신한은행은 전찬옥 부산금융센터 지점장, 유미라 강북금융센터 과장, 조슬기 이천금융센터 행원 등 3명의 여직원을 특별승진시켰다.
하나은행도 은행 창립 이래 처음으로 진행한 특별승진자 6명의 주인공으로 모두 여성 직원을 선발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육아 등으로 근속 연수가 짧기 때문에 현재 여성 중에 임원급 풀이 얼마 없다"면서도 "다만 점점 여성들의 진출 움직임이 활발한 것으로 보아 향후에는 여성 임원이 지금보다 많이 배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