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시발(發)' 가습기 살균제 파동이 결국 대형마트로 번졌다.
롯데마트는 18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호텔롯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업계 최초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피해 보상을 약속했다. 피해 보상 범위는 지난 2006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시판했던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피해자와 그 가족들이다. 롯데마트는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보상 전담 조직을 설치한 뒤 피해 기준 등을 검토해 보상 협의를 할 방침이다.
이는 검찰이 폐질환을 유발시킨 PB(자체브랜드) 가습기 살균제를 판매했던 롯데마트, 홈플러스 관계자에 대한 검찰 소환을 앞두고 나왔다.
롯데마트의 PB로 만든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는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디닌)를 원료로 사용했다. PHMG는 2011년 원인 미상의 폐질환으로 임산부와 영·유아 등을 포함한 수백명을 사망에 이르게 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도 집단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지목한 물질이다. 가장 많은 피해자를 낸 옥시레킷베진커 '옥시싹싹' 제품의 성분과 같다.
김종인 롯데마트 대표는 이날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 큰 고통과 슬픔을 겪은 피해자 여러분과 가족 분들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동안 '공식적으로 명확한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피해여부 확인이 어려웠다' 등의 이유로 원인 규명과 사태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점 사과드린다"며 "사건이 알려진 뒤 5년이 넘어서야 뒤늦게 사과와 보상안을 내놓은데 대해서도 깊이 반성한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검찰 수사가 종결되기 전까지 자체적으로 피해보상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의 인과 관계가 증명되면 바로 보상을 한다는 입장이다. 피해보상 재원은 1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강찬호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모임 대표는 "정상적인 대한민국 기업이라면 정부가 2011년 가습기 살균제가 (폐질환의) 원인으로 밝혔을 때 피해자들 앞에 사과했어야 했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냈다.
이날 사과와 보상 계획 발표는 전날 당시 롯데마트 사장인 노병용 롯데물산 대표와 김 대표 회동후 전격 결정됐다. 롯데마트가 전격적으로 사과·보상 방침을 밝힘에 따라 문제의 성분으로 가습기 살균제를 만들어 판 옥시레킷벤키저와 홈플러스, 원료물질 공급사 SK케미칼 등도 공식 사과·보상에 대한 여론 압박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업체 관계자들의 소환조사를 본격화한다. 검찰 소환조사의 첫 타깃은 가장 사망자가 많은 옥시레킷벤키저다.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19일 오전 옥시측 실무진 1∼2명을 출석시켜 법인 고의 청산, 연구보서 조작, 유해성 은폐 시도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