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조용병 은행장(앞줄 오른쪽에서 두번째)과 임원·본부장이 지난 15일 경기도 광명시 소재의 광명동굴을 방문해 설명을 듣고 있다.
최근 신한금융이 통합 1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소통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조 행장은 오는 2020년 목표로 당기순이익 2조원, 글로벌 손익 비중을 20%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방안으로 현장과의 소통을 강조한 바 있다. 현장경영에 본격 나선 조 행장의 행보는 현장과 고객, 직원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리딩뱅크를 넘어서 '월드클래스 뱅크'로 도약하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탁월한 신한을 만들기 위한 핵심 원동력은 리더십과 소통, 그리고 화합입니다."
조용병 신한은행장은 지난 15일 경기도 광명시 소재 광명동굴에서 임원·본부장 90여명과 함께한 2·4분기 워크숍에서 이같이 밝혔다.
광명동굴은 지난 1912년 일제강점기에 개발된 광산으로 1972년 폐광 후 40년 동안 버려져 있었다. 이를 지난 2011년 광명시에서 매입해 문화예술 체험과 힐링 공간을 만들어 연간 관광객 100만명 이상이 찾는 테마파크로 개발한 성공적인 창조경제 사례로 알려져 있다.
신한은행은 이날 경기도 기흥 소재 신한은행 연수원에서 임원·본부장 워크숍을 마친 후, 변화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도전을 배우고자 광명동굴을 방문했다.
조용병 행장은 "광명동굴의 사례에서 보듯 생각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고객들에게 계속 선택받고 성장하는 은행이 되기 위해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하자"고 강조했다.
또한 '리더십·소통·화합'을 강조하며 임원·본부장에게 소통과 화합의 리더십을 적극 발휘해 달라고 당부했다.
창의와 혁신, 소통과 화합을 강조하기 위해 임직원들과 폐광까지 찾는 조 행장의 '소통론'은 유명하다.
신한은행 본점 곳곳에 '소(疏)통 하면 소(笑)통이다'란 문구를 붙여놓으며 현장과 본부의 원활한 소통을 강조하는 것은 물론, '광장 3.0'이라는 온라인 채널이 탄생하기도 했다.
조 행장은 평소 광장 3.0을 꼼꼼히 챙겨보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올해 직원들이 올린 1800건 이상의 업무제안 중 20%가 제도에 반영될 정도로 영향력이 커졌다.
직접 현장을 찾아 일선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현장 경영'도 조 행장의 대표적인 소통 경영이다.
조 행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구ㆍ경북지역을 시작으로 지난 5일 서울·경인지역 우수고객 초청행사까지 한 달 간 진행된 상반기 현장경영을 마무리했다. 조 행장은 경상지역, 호남지역, 충청지역, 서울ㆍ경인지역 등 전국 곳곳의 현장을 방문하면서 600여명이 넘는 고객을 직접 만나고 인근 영업점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는 등 현장과의 간격을 좁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