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그룹이 어려운 국내외 경제 속에서도 차별화된 리스크관리로 수익성·건전성 지표를 끌어올렸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2조3672억원을 달성함으로써 2년 연속 2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올렸다. 8년 연속 국내 금융그룹 당기순이익 1위라는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고정이하여신비율(NPL)도 지난해 말 기준 0.87%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신한금융의 이 같은 성과에는 신한만의 차별적인 리스크관리 전략이 자리 잡고 있다.
신한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모든 조직 구성원이 리스크에 대한 오너십을 갖고 제반 비즈니스를 수행함에 있어 리스크와 수익의 균형을 추구한다'는 리스크관리 철학으로 리스크관리를 일상화해 왔다.
이런 철학을 바탕으로 신한은 지주회사와 자회사 간의 '세미-매트릭스(Semi-Matrix)' 형태의 리스크관리 조직 체계를 구축해 그룹 차원의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그룹사별 운용 포트폴리오의 자산·위험 증가 또는 대외 환경적 이슈에 관한 157개 모니터링 영역의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지주회사의 3차원 모니터링 체계인 '리스크 대쉬보드(Dash Board) 운영체계'는 금융권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에는 모든 그룹사가 여신의사결정때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일 신용평가모형을 개발해 객관성·변별력을 개선해 그룹의 신용평가 역량을 차별화했다.
신한금융은 그룹의 리스크관리 역량이 전반적으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도록 각 그룹사 리스크관리 담당자를 포함한 전문가 네트워크(REN)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그룹 차원의 리스크 전략 과제와 연계한 이슈를 공유하고 주제별 학습·연구·토론·리스크 워크숍 등을 진행함으로써 그룹사 간 시너지를 발휘할 뿐 아니라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며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자는 것이다.
신한금융은 편중 리스크 모니터링과 R&D 강화, 모니터링 네트워크 확충을 통해 위기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이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는 것을 리스크 관리 목표로 삼고 있다.
또 글로벌 비즈니스 리스크관리와 핀테크 등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에 대응하는 리스크관리 역량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그룹의 핵심 미션인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을 바탕으로 고객 자산의 리스크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며, 사회책임경영의 실천을 지원하는 리스크관리를 지속해서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