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의 '클린 베이징' 실험…국영기업 지방 이전 추진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제개혁 청사진에 따라 베이징에 자리한 대형 국영기업들의 지방 이전이 추진 중이라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28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베이징에 핵심사업이 없는 국영기업을 이전시킬 것이라며 이로 인해 지방경제를 부양하는 효과는 물론이고 베이징의 교통혼잡, 대기오염, 과잉인구 문제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에는 중국 상위 국영기업 106개 중 80개 이상의 기업이 본사를 두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중앙정부 관리들이 국영기업의 임원 자리를 채우다보니 국영기업은 베이징에 몰릴 수밖에 없었다. 중앙정부 관리 출신들이 베이징을 떠나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80여개의 국영기업 중 얼마나 많은 기업이 이전대상인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방정부들은 중앙정부의 공식발표를 기다리지 않고 이미 국영기업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이달 초 베이징에서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열리기 전 중국 남부 선전의 관리들은 중국해양석유(CNOOC) 본사를 찾아가 베이징에서 선전으로 이전을 요청하며 선물보따리를 풀었다. 토지와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사원들의 정착을 돕겠다는 것이다. 선전만이 아니다. 톈진, 광저우, 상하이 등도 종합지원책을 마련해 CNOOC에 이전을 요청했다. CNOOC측은 중앙정부의 명령이 없다며 제안을 거절했지만 이전이 불가피할 경우 지방정부들의 제안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전자(CEC)와 중국핵공업집단(CNEG) 등 다른 대형 국영기업들도 지방정부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블룸버그는 현재 진행되는 이전 논의들이 현실화된다면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추진하는 가장 야심찬 기업 재배치 작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 주석 등 중국 지도부가 베이징에서 국영기업을 이전하려는 구상에는 베이징의 심각한 대기오염과 인구과잉을 해소해야 한다는 왕안순 베이징 시장의 호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은 지난해말 살인적인 스모그로 악명을 떨쳤다. 인구는 지난해말 2170만명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