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정부가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16개 대학에 총 450억원을 지원해 인문학과 어문학 계열 학과의 취업률 문제 해결에 나선다.
교육부는 17일 대학 인문학 발전 계획에 재정을 지원하는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코어사업) 대상으로 서울대 등 16개 대학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수도권에서는 가톨릭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양대 등 7곳이, 지방에서는 가톨릭관동대, 경북대, 계명대, 동아대, 부경대, 부산외대, 전남대, 전북대, 충북대 등 9곳이 선정됐다.
코어사업은 인문학의 낮은 취업률로 인해 학생들로부터 외면받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것이다. 인문학을 보호하고 육성하면서 동시에 사회 수요에 맞는 인재를 만들자는 취지다. 코어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은 학교별로 글로벌지역학모델, 인문기반 융합 모델, 기초학문 심화 모델, 기초교양대학 모델 등의 방식으로 특화된 인문학 교육을 하게 된다. 최은옥 교육부 학술장학지원관은 "그동안 인문학과가 백화점식으로 특색없이 구성됐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 사업은 대학별 학과를 특성화하고 융·복합 인재를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지역학 모델에는 주로 어학계열 학과들이 참여한다. 교육과정에 지역학 과목이나 인턴십 과정을 추가해 해당 지역에서 취업능력을 키우는 방식이다. 고려대의 경우 노어노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등 4개 학과가 참여한다. 이화여대는 중어중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문과 등이 참여한다.
인문기반 융합모델은 인문학과 다른 학문을 결합한 융합 교육과정과 관련 학위과정을 개설하는 방식으로 가톨릭대가 선택했다. 카톨릭대는 인문학을 기반으로 경영학과 융합된 특화과목으로 구성된 '지-휴매니지'(Global Communication of Human-Management) 전공을 개설하고, 졸업자에게 글로벌 인문경영학사를 수여한다.
기초학문 심화모델은 기초학문의 학문후속세대를 육성하는 것으로 서울대가 선택했다. 서울대 인문대학의 16개 모든 학과가 참여한다.
각 대학들은 내년 신입생부터 새로운 교과과정을 적용할 계획이지만 학칙 개정이 필요없는 내용은 바로 시행에 들어간다. 교육부는 상반기 중 추가 지원 대학을 선정해 20∼25개교로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