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금(金)테크 열풍이라더니…은행 발길 '뚝'

실익 적은 골드바·골드뱅킹 등 판매량 하락세…"금, 변동성 커 안전자산이라 할 수 없어"

금(金)테크를 위해 은행을 찾는 발걸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저점을 찍은 금값이 서서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안전자산으로 알려진 금이 사실상 변동성이 크고 실익을 내기 어려워 '반짝'하던 인기가 사그라 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KB국민은행 한승우 PB팀장은 "금테크가 실제적인 수익을 내기 어렵다는 사실을 고객도 알고 있다"며 "금이 안전자산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에 가까워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테크 꺽였다…시중은행 실적 '뚝뚝'

6일 은행권에 따르면 금테크 관련 업무를 하는 우리·국민·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의 골드바·골드뱅킹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다.

우리은행의 골드바는 지난해 12월 20억(43㎏), 지난 1월 12억원(24㎏), 2월 7억8000억원(14.3㎏)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골드뱅킹의 경우 같은 기간 잔액은 249억원, 255억원, 258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반면 거래량은 622.7㎏, 589.4㎏, 529.2㎏으로 줄었다.

국민은행의 골드바는 지난해 12월 27억8100만원(65.7㎏), 지난 1월 16억2900만원(36.9㎏)으로 큰 폭 감소했다가 2월 23억9800만원(48.3㎏)으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골드뱅킹은 같은 기간 잔액 695억원, 732억원, 755억원으로 소폭 상승했고, 거래량은 1727㎏, 1691㎏, 1553㎏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의 골드뱅킹 거래량도 1만1293㎏, 1만1081㎏, 1만337㎏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은행권 전반에서 골드바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골드뱅킹 좌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 시중은행의 영업점 직원 A씨는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금테크 관련 문의 고객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보통 일반 영업점에서는 취급을 잘 하지 않는다"며 "일반 서민이 이용하기엔 비용 부담과 실익 때문에 은행원들도 적극적으로 추천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금이 안전자산이라고?…떠오르는 신중론

은행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금테크는 크게 골드바, 골드뱅킹, 골드펀드(골드ETF)가 있다.

골드바는 실물자산을 매매하는 투자로, 은행에서는 보통 10g 이상부터 판매한다. 매매 시 5% 가량의 수수료와 10%의 부가세를 지불해야 하므로 실익을 추구하기는 힘든 상품이다.

골드뱅킹은 금 무게에 따라 금액을 산정해 계좌에 넣는 식의 비실물 거래로, 소액이라도 쉽게 투자가 가능하지만 배당소득세가 15% 가량이다.

골드펀드 중 대표적 상품인 골드상장지수펀드(ETF)는 국내 장내주식시장에 상장돼 있어 매수 매도가 바로 가능하지만 매도 시 이익에 대해 15% 이상의 세금을 지불해야 한다.

이와 같이 금 투자는 배당소득세와 수수료 등이 높아 실익을 얻기 힘들고, 변동성이 크다. 이에 전문가들은 안전자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승우 팀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을 안전자산이라고 생각하고 경제 상황이 불안할 때 금에 투자한다고 생각하더라"면서 "하지만 금을 안전자산으로 생각하는 것은 부동산 보유 시 안전하다는 느낌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금은 실물자산으로 변동성에 더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가격 변동성에 취약하다"며 "지금 시점으로서는 금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금 투자에는 두 가지의 불확실성 변수가 있다. 국내에서 금을 사려면 원화로 달러를 사야 하므로 달러 환율이 그대로 노출된다. 그러므로 금 가격의 변동성 뿐만 아니라 원·달러의 변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는 "사실 금을 투자한다는 건 환율에 투자한다는 것과 동일하다"며 "환도 변동성이 커서 개인이 투자하기는 어려운 상품인데, 금도 같은 맥락으로 투자해서 수익을 보겠다고 접근하면 굉장히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금테크를 원한다면 가치 축적의 목적이 강할 경우 골드바를, 시세차익을 노린다면 골드뱅킹이나 골드펀드 투자가 유리하다"면서도 "전문가도 가격 변동성과 방향성 등을 예측해 전망을 하지만 어디까지나 선택은 고객의 몫"이라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