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가 IoT 사업단장 송희경 전무(오른쪽)가 'KT 기가 IoT 홈 설명회' 중 '기가 IoT 헬스바이크'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KT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KT가 올해 30여종의 '기가 홈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출시한다. 또 '펀 앤 케어(Fun&Care)'라는 차별화 요소로 앞세워 2018년까지 시장 선두자리에 오르겠다는 목표다.
KT는 3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KT 기가 IoT 홈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KT 기가 IoT 사업단장 송희경 전무는 "올해 총 30여종의 홈 IoT 서비스를 출시하고, 연내 가입기기를 50만대로 늘리겠다"며 "2018년까지 국내 IoT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겠다"고 말했다.
KT는 홈 IoT의 키워드로 '펀 앤 케어'를 핵심 가치로 삼아 소비자가 가정에서 IoT를 통해 건강, 안전,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대표 서비스로는 지난달 출시한 기가 IoT 헬스밴드와 조만간 출시 예정인 기가 IoT 헬스바이크 및 기가 IoT 헬스 골프퍼팅 등이 있다.
이들 서비스는 가정에서 단순히 운동기구만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올레tv에서 제공되는 운동프로그램 영상과 게임으로 재미요소를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헬스트레이너 숀리(사진 왼쪽), BC카드 소속 골프선수 김혜윤(가운데), 모델이 헬스밴드, 골프퍼팅, 헬스바이크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KT
기가 IoT 헬스밴드의 경우 헬스트레이너 숀리와 함께 개발한 것으로 올레tv에서 숀리의 동영상을 보면서 PT(Personal Training)를 받을 수 있다. 본인의 운동량과 개인별 맞춤 권장식단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기가 IoT 헬스바이크는 올레tv를 위즈(Wiz)게임 화면과 연동해 바이크 주행 중 도로의 상태나 경사도에 따라 바이크 페달의 강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된다. 기가 IoT 헬스 골프퍼팅은 실제 골프장 환경과 유사한 상황에서 퍼팅 연습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연습장이나 골프장을 갈 필요 없이 가정에서 간편하게 골프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서비스는 단순 연동 서비스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빅테이터를 활용해 개인별 맞춤형 IoT 건강 관리 서비스로 확대 제공된다.
KT는 IoT 플랫폼인 'IoT 메이커스(Makers)'에 건강 관련 빅테이터 분석이 가능한 솔루션을 탑재해 소비자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가 IoT 헬스이라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건강 컨설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대구 헬스케어 실증단지에서 추진 중인 국내 최초의 진단→가이드→모니터링→피드백의 자동 센싱 알고리즘도 프로그램이 완성 되는대로 기가 IoT 홈 서비스와 연계할 나갈 예정이다.
KT는 홈 IoT 시장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KT는 현재 개방형 IoT 플랫폼인 IoT 메이커스에 음성인식, 영상인식,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KT가 가진 기술과 자원을 개방하고 파트너사들이 이를 토대로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의 IoT플랫폼인 아틱(ARTIK)과 IoT 메이커스와도 연동을 마쳤다. 지난달 열린 'MWC 2016'에서 삼성전자와 함께 지능형 홈 IoT 허브인 'OTTO'를 선보이기도 했다.
또한 KT는 국내 최대 규모의 IoT 연합체인 '기가 IoT 얼라인스'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과 글로벌 사업자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292개(지난달 기준) 회원사간 교류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송희경 전무는 "이번에 선보인 헬스바이크는 얼라이언스로 참여한 중소기업 업체와 공동으로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협력사의 규모에 상관없이 공동 플랫폼을 만들어 IoT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IoT 시장이 커질수록 이를 수용할 있는 인프라는 필수적"이라며 "KT가 가진 기가 인프라와 올레tv와 같은 강점을 바탕으로 홈 IoT 시장을 강화해 IoT 시장 1위 사업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