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산업

"삼성전자 샤프 인수 여러차례 타진…홍하이 인수 시도에 변수"

"삼성전자 샤프 인수 여러차례 타진…홍하이 인수 시도에 변수"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여러 차례 샤프 인수를 타진했다고 연합뉴스가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을 인용해 전했다. 샤프는 현재 대만의 홍하이가 노리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지난해 10월 서울 본사에서 일본 대형 금융기관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샤프를 지원하고 싶은데 일본 정부를 비롯한 여기저기서 (우리의 진심을) 오해해 경계하고 있다"며 "(삼성의) 진의를 전달해 달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삼성의 진의를 경제산업성을 비롯한 관계부처 등에 전달해도 항상 적당히 얼버무리고 넘어가는 바람에 전혀 진전이 없었다는 것이다. 일본 금융기관 대표는 "이재용 부회장은 샤프에 진짜로 관심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말했다.

이 부회장은 2013년 샤프에 약 100억 엔(약 1000억원)을 출자할 때도 직접 샤프 본사를 방문해 협상을 진두지휘했다. 삼성은 당시 출자와 맞바꾸는 형식으로 샤프의 복사기 사업 인수를 추진했으나 경제산업성과 일본 복사기 업계의 맹렬한 반대로 좌절됐다. 이후 샤프로부터 액정 패널을 조달하는 것 외에는 제휴관계가 진전을 보지 못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삼성이 샤프에 직접 "당사는 사카이 공장의 경영권 취득을 진지하게 고려 중이다. 연초부터 본격적으로 자산실사에 나서고 싶다"며 인수를 제의했다. 사카이 공장은 샤프와 대만 홍하이가 2012년부터 공동경영하는 TV용 액정패널 공장이다. 샤프와 홍하이는 공장운영회사인 사카이 디스플레이 프로덕트(SDP) 주식의 38%씩을 소유하고 있다. 이중 샤프의 지분 인수를 제의한 것이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샤프는 오사카시에 있는 오사카본사 건물과 해외 주력공장 등 시장에서 팔릴만한 건 모두 팔아 현금을 조달해 오고 있다. 이 바람에 현재 우량 부동산 등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장부가격으로 700억 엔(약 7000억원)에 달하는 SDP 주식은 마지막 남은 알짜 자산이다.

샤프의 한 간부는 "삼성이 사카이 공장에 출자하고 싶다는 제안은 2013년부터 여러 차례 있었으며 최근에는 작년 여름에도 제의가 왔었다"면서 "우리의 속마음은 비싸게 사주기만 하면 팔고 싶다는 것이지만 홍하이와 공동경영이라 간단히 결정할 수 없다"고 털어 놓았다.

세계 TV 시장 점유율 27%(2015년 1∼9월·IHS 테크놀로지 조사)인 삼성은 사카이에서 생산한 60인치 이상 대형 패널을 샤프를 경유해 구입, 자사 TV에 장착하고 있다. 삼성의 입장에서 볼 때 사카이는 고품질의 대형 패널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도 몇 안 되는 공장이다. 삼성이 SDP 주식인수를 제안한 것도 이 때문이다. 10세대 공장을 자체적으로 신설하려면 수천억 엔(수조원)이 들지만 SDP 주식은 장부가의 2배를 주고 사더라도 1000억 엔(약 1조원) 미만이면 된다. 삼성으로서는 충분히 수지가 맞는 셈이다.

내심 대만 홍하이를 불신하는 것으로 알려진 샤프측으로서도 삼성의 지원을 은근히 바라는 것으로 보인다. 샤프의 한 관계자는 "홍하이가 의기양양하게 공동운영으로 실적이 좋아진 '사카이 모델'을 내세우고 있지만 내용을 알고 보면 그렇지 않다"면서 "샤프가 삼성을 고객으로 확보해 가동률을 높인 것일뿐 홍하이는 안정적인 고객을 개척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홍하이는 4년전 '타도 삼성'을 내걸고 샤프와 제휴했지만 양사 모두 샤프가 아이폰의 액정 패널을 생산하고 홍하이가 완성품으로 조립하는 '애플 피라미드'에 속해있다. 그런 애플이 올 1분기에 최신형 아이폰인 6S·6S 플러스 생산을 계획보다 30%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비해 삼성은 특허분쟁을 비롯, 스마트폰 세계 1위자리를 놓고 애플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홍하이는 내심 삼성과도 거래를 터 애플, 삼성을 '양 바퀴'로 삼고 싶어할 게 분명하다.

홍하이 그룹의 일본인 간부는 "궈타이밍 회장은 최종적으로는 SDP 주식의 일부를 양도하는 방식으로 삼성과의 관계강화에 나설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