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산업

월가 헤지펀드 거물들, 위안화 공격…제2차 아시아화폐전쟁 발발

카일 바스 사진=유튜브

>

스탠리 드러큰밀러 사진=유튜브

>

데이비드 아인혼 사진=유튜브

>

데이비드 테퍼 사진=유튜브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월가의 헤지펀드 거물들이 중국 위안화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헤지펀드 대부인 조지 소로스와 주룽지 중국 총리 간 화폐전쟁을 능가하는 큰 싸움이 될 전망이다. 18년전 전쟁은 홍콩에서 벌어진 대리전이었다. 중국 경제의 규모도 현재의 10분의 1수준이었다. 이번 전쟁은 G2로 우뚝 선 중국과 월가 거물들의 연합이 맞부딪치는 전면전이다.

1일 월스트리저널(WSJ)에 따르면, 월가를 주름잡는 헤지펀드 거물들이 일제히 위안화 약세 배팅에 나섰다. 헤이맨 캐피탈의 카일 바스, 포인트스테이트 캐피탈의 자크 슈라이버와 그 배후인물인 억만장자 투자자 스탠리 드러큰밀러, 그린라이트 캐피탈의 데이비드 아인혼, 애펄루자 매니지먼트의 데이비드 테퍼 등이다.

바스는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측해 거액을 벌어들인 인물이다. 2010년부터 엔화 약세에 대규모의 자금을 걸어두기도 했다. 이후 일본은행이 양적완화를 시작해 그의 예측이 실현됐다. 2013년 봄에는 "일본의 종말이 시작됐다"고 주장해 다시 유명세를 탔다.

드러큰밀러는 소로스의 측근 출신으로 소로스가 1990년대 초반 파운드 약세 베팅으로 영국은행을 무너뜨렸던 일을 지켜봤다.1997년 아시아외환위기 당시에는 소로스 펀드의 최고투자책임자(CIO)를 맡아 말레이시아 링깃 폭락으로 막대한 차익을 챙겼다. 슈라이버는 드러큰밀러의 측근으로 말레이시아에서 그를 도왔다.

아인혼은 블룸버그가 선정한 최고의 공매도 투자자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를 미리 경고해 일약 헤지펀드계의 스타로 떠올랐다. 그의 말 한마디에 회사의 주식이 급등해 '아인혼드 현상'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영향력이 막대하다.

테퍼는 헤지펀드 매니저 가운데 최고의 연봉을 자랑하는 인물이다. 지난 몇년간 그의 연봉은 3조원을 훌쩍 넘겼다. 실적에 의해 연봉이 좌우되는 헤지펀드 업계에서 실력으로 인정받은 거물이다.

이들 중 위안화 공격에 가장 앞장선 인물로는 바스가 꼽힌다. 바스는 지난해부터 위안화 약세에 베팅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자신이 보유한 주식, 원자재, 채권 등 모두 처분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헤이맨 캐티탈 포트폴리오 자산의 85%에 해당한다. 여기에 대출까지 포함해 바스가 위안화 약세에 베팅한 금액은 수십억 달러에 이른다고 WSJ는 전했다. 그는 WSJ에 "앞으로 3년 동안 위안화가 최대 40%나 떨어질 것"이라며 "(위안화 약세) 주문 규모는 지난 서브 프라임 위기에 비해 훨씬 크다"고 말했다. 그는 베팅 이유에 대해 "중국의 은행시스템을 연구한 결과, 부채가 급속하게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만기 상환일을 넘기는 부채가 늘면 인민은행이 금융권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유동성 급증은 위안화 가치의 하락으로 이어진다.

드러큰밀러와 슈라이버 역시 지난해부터 위안화 약세에 막대한 돈을 베팅했다. 슈라이버가 운용하는 헤지펀드의 지난해 수익률 15% 상당 부분이 위안화 약세 베팅에서 거두어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아인혼과 테퍼의 베팅 규모는 알려지지 않는다.

위안화에 대한 이들의 공격은 예견된 일이었다. 앞서 소로스는 지난달 다보스포럼에서 중국경제의 경착륙은 필연적이라며 위안화 약세 베팅을 공공연히 주장했다. 중국은 관영언론은 물론이고 리커창 총리까지 나서 소로스 발언으로 인한 파장을 봉쇄하고자 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일부 공매도 세력만이 중국의 엄포에 겁을 먹고 한발 물러섰을 뿐이다. 시장에서는 위안화 약세 베팅에 나서는 공매도 세력이 여전히 많다고 전해진다. 헤지펀드 거물들이 전쟁하기에 좋은 환경이 마련된 것이다.

중국의 봉쇄 노력이 통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중국 증시 폭락 사태 당시 위안화 가치를 절하했다. 중국 제품의 수출가를 낮춰 경기를 부양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많았다. 경기 부양으로 경제 위기를 돌파하려한 것이다. 하지만 위안화 절하는 중국에서 대규모 자본이 유출되는 부작용을 낳았다. 중국 정부는 방향을 180도 선회해 위안화 방어에 나섰다. 최근 유출된 인민은행(중국 중앙은행)의 긴급 정책회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현재 위안화 방어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한 상태다. 위안화 가치 하락이 두려워 금리 인하나 지급준비율 인하와 같은 경기 부양책을 쓰지 못할 정도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외환보유국가지만 지난 1년동안 보유액의 13%에 해당하는 5130억 달러를 위안화 방어를 위해 소모했다. 아직 막대한 외환이 남아있지만 헤지펀드 거물들의 공세를 막기에는 위험한 수준이다. 여기에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시장공개조작으로 풀고 있는 막대한 유동성은 위안화 약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중국 정부와 헤지펀드와의 전쟁의 결말이 우려되는 이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