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6일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이 진정한 '유능한 경제정당'으로 거듭나려면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법안을 우선 처리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경제적 약자에 부담을 떠넘기는 내용인 만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용남 원내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더민주는 휘청거리는 제조업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조정을 위한 기업활력제고특별법과 제조업의 부진을 보완할 수 있는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의 발목을 묶고 있으면서 경제를 논할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그동안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정당 이미지를 갖고 있던 더민주가 외부 인사를 영입해 경제에 관심이 많고 유능한 정당으로 탈바꿈하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경제활성화법안 처리를 방해하고 있으면서 말로만 표방하는 것은 표리부동하다"고 꼬집었다.
김 원내대변인은 노동개혁법안과 관련, "세계 경제가 혼란스럽고 어려운 만큼 노동개혁 입법도 절실하다"며 "정부와 여당이 기간제법 제외하고 4개 법안만이라도 1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자고 양보했으니 이젠 민주노총 세력의 눈치를 보지 말고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새누리당이 국회에 계류 중인 쟁점 법안 처리를 요구하는 데 대해 경제적 약자에 부담을 떠넘기는 내용인 만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원내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노동악법, 원샷법, 서비스발전기본법 등 쟁점 법안들은 재벌대기업의 입장만 대변하고 비정규직 노동자, 자영업자 등 경제적 약자에 모든 부담을 떠넘기는 내용"이라며 "경제활력이 상실된 현재 한국경제의 상황을 해결하는 해법이 될 없다"고 지적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또 "서민 경제 파탄과 양극화의 심화의 해법은 경제민주화"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민주화 공약을 내걸고 이행도 제대로 하지 않더니, 이제는 그것에 역행하는 쟁점 법안을 강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새누리당이 자신들의 법안을 통과시켜야한다고 우기면서 문제점을 지적하는 야당의 의견이나 절충안은 전혀 받고 있지 않다"며 "여당이 타협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법안 처리가 지연되는 것은 여당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