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안전 새시대 개막…미 정부와 업계 '안전 개혁'에 합의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2016년 북미국제오토쇼에 참석 중인 글로벌 자동차업체들과 미국 정부가 자동차 안전을 위한 개혁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력한 처벌과 규제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안전 문제가 끊임 없이 불거지자 협력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한 결과다. 자동차 안전에 있어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1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앤서니 폭스 미국 교통부 장관과 글로벌 자동차업체의 최고경영자들은 오는 15일 북미국제오토쇼에서 '자동차 안전 협약'을 발표할 계획이다. '자동차 안전 협약'은 안전 개혁을 위한 기본틀로 보다 심도 깊은 논의의 토대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는 도요타,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다임러, 피아트-크라이슬러, BMW, 현대차, 닛산, 혼다 등 16개 글로업 업체들이 참여한다.
이번 협약은 규제 당국과 자동차 제조사들 간의 협력을 전제로 하고 있다. 협약을 통해 업체와 규제 당국은 자동차의 안전을 혁신하기 위한 협역에 나설 예정이다. 이전까지의 긴장과 갈등 관계로는 근본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화두가 안전 문제였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GM는 점화 장치 결함에 대한 늑장 리콜로 10억 달러(약1조745억원) 수준의 벌금을 내게 됐고, 피아트-크라이슬러는 화재 발생 위험으로 57만대의 SUV 차량에 리콜을 실시했다. 도요타도 에어백 결함으로 161만대 이상을 리콜하는 등 다른 업체들도 안전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안전에 관심을 쏟게 됐다는 점에서 이번 협약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자발적 협약의 성격상 강제력이 없다는 게 문제로 지적된다. 미국의 시민단체 사이에서는 "대화와 강력한 법 집행이 병행돼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폭스 장관은 "업체들과 생산적인 대화를 가졌다"며 "업체들이 곧 구체적인 기여를 하게 돼 안전 문제에 있어 의미심장한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규제 당국인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업체들이 협약상 규정을 어긴다면 벌금 부과를 주저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안전 규정을 공격적으로 집행하겠다고 공언했다.
업계도 전향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다. 피아트-크라이슬러의 회장인 세르지오 마르치오네는 "자동차 업계는 규제당국과의 협업이 좀 더 필요하다"며 "이제 자동차 업계는 경쟁업체를 앞지르기 위한 수단으로 안전 문제를 다루는 데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