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국내 생활산업 제품의 경쟁력이 가격 측면에서는 중국에 밀리고 품질·디자인 측면에서는 유럽연합(EU)과 미국 등에 뒤쳐지면서 글로벌시장에서 성장경로를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문구, 주방용품, 생활소품 등 생활산업 관련 521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산업 글로벌 경쟁력 및 지원정책 수요조사'에 따르면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의 생태계 경쟁력은 미국보다 11.5 p 떨어졌으며, 중국보다는 2.1p 낮았다.
국내 생활산업 생태계 경쟁력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미국은 111.5, 중국은 102.1인 것으로 조사됐다. EU(109.2)와 일본(104.6)도 우리나라보다 각각 9.2p와 4.6p가 높았다.
세부적으로 국내 생활산업 제품은 가격경쟁력면에서 중국(116.4)에 16.4p나 밀리는 반면 EU(97.9)·일본(97.6)·미국(97.3) 등 선진국과는 불과 3p 차이도 나지 않았다.
품질·디자인·브랜드 등 비가격 경쟁력은 EU에 비해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 제품이 각각 10.1p, 12.6p, 14.5p가 뒤처졌다. 기술수준 및 연구개발 능력은 미국에 비해 각각 11.3p와 14.8p가 떨어졌다.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선순위 정책분야는 기술개발로 7점 만점 중 4.5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했다. 이어서 판로개척 4.47점, 자금 4.45점 순으로 나타났다.
기술개발 세부정책으로는 신상품개발 지원(4.69), 디자인 지원(4.54), 공정기술 개발지원(4.53) 등을 선호했으며, 판로개척은 해외시장 진출지원(4.54), 바이어 연계지원(4.45), 정부조달 지원(4.42) 등을 희망했다. 자금정책은 시설투자금 저리융자(4.59), 금융권 대출 확대(4.43), 연구개발 자금지원(4.34) 등이 우선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법제화 필요성에 대해 응답기업의 60.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국내 생활산업의 취약한 글로벌 경쟁력 수준이 확인된 만큼 체계적인 육성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주력업종의 성장한계를 보완하고 일자리 창출의 보고로써 생활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연내 법제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