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5년 연속 무역 1조 달러 달성 실패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올해 수출 부진과 수입 감소로 우리나라의 5년 연속 '무역 1조 달성'이라는 꿈은 멀어지게 됐다.

세계 경기 둔화와 산업구조 변화,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세계 무역이 10% 이상 감소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수출과 수입도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2015년 수출입 전망 및 2016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무역 규모는 1조 달러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은 2014년보다 7.1% 떨어진 5320억 달러, 수입은 16.3% 하락한 4400억 달러로 총 교역 규모는 9720억 달러 가량 될 것으로 추정됐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1년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연간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달성한 후 2014년까지 4년 연속 교역 1조 달러 행진을 이어왔다. 하지만 올해는 지난 10월까지 무역규모가 876억 달러(수출 4402억 달러, 수입 3674억 달러)에 그쳤다.

올해 무역 규모 급락에는 국제 유가 하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들어 국제 유가가 50%가량 하락하면서 10월까지 석유화학, 석유제품 등 원유 관련 제품의 무역 감소액이 863억 달러(수출 252억 달러, 수입 611억 달러)나 됐다. 작년 대비 전체 무역규모 감소분의 79.0%를 차지한 것이다.

이로 인해 50년 넘게 승승장구한 무역이 올해엔 골칫덩어리가 됐다. 예년엔 수출이 평균 1~2%정도의 성장 기여를 했지만, 올핸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경제성장률도 2%대로 떨어뜨린 것이다.

특히나 다음달 5일 '제52회 무역의 날'이 다가오면서 무역인들은 착잡하기만 하다. 수출이 줄면서 기념일마저 우울하게 만들 처지에 놓인 것이다.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은 올해 심각한 부진을 겪는 수출 분야와 관련해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우리 경제구조가 자유화, 유연화되면서 불필요한 구조가 최소화돼야 한다"며 정부의 기업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다 칼을 휘두르겠다는 발상은 버려야 한다. 정부가 할 수 있는 일과 시장에 맡겨야 할 일이 있고 금융기관이 해야 할 일이 있는데 각 역할이 잘 이뤄지게 하는 게 정부의 몫"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