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LS산전은 캄보디아 전력청 훌 쿤낙 붓(Hul Kunnak Vuth) 부청장을 비롯해 태국, 미얀마, 베트남, 라오스, 방글라데시, 네팔, 카자흐스탄 등 아시아 지역 8개국 전력청 관계자 15명과 향후 스마트 에너지 사업 추진을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방문단은 경기도 안양 소재 LS타워와 R&D 캠퍼스, 청주사업장을 방문, 초고압 전력기기, 스마트 팩토리 등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등을 둘러봤다.
이번 방문은 지난 7월, LS산전과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간 체결한 '에너지·전력·물관리 분야 개발협력사업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MOU'에 따라 우리나라 전력·에너지 분야 노하우를 아시아 지역 개발도상국에 소개하고, 에너지분야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방문단은 지난 23일 코이카를 방문, 한국의 에너지 분야 발전사 및 대 개도국 에너지분야 협력전략 등에 대해 논의한 데 이어 이날 글로벌 수준의 스마트 송배전 기술과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을 보유하고 스마트 에너지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LS산전을 벤치마킹하고, 자국의 차세대 에너지 사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직접 LS산전을 찾았다.
이 자리에는 한재훈 사장을 비롯해 이정철 전력인프라사업본부장(전무), 황하연 전력수배전사업본부장(상무)등 LS산전 주요 임원진이 함께 참석해 스마트그리드 기술 기반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FEMS(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Building EMS), 태양광 솔루션 등 스마트 에너지 분야 핵심 사업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방문단은 특히 GIS(가스절연개폐기), 변압기, 고압·저압 전력기기 등 전력 솔루션 기술뿐만 아니라 EMS,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HVDC(초고압직류송전 High Voltage Direct Current) 등 LS산전의 그린 비즈니스 분야에도 큰 관심을 보여, 앞으로 이 분야 사업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LS산전 한재훈 사장은 "LS산전은 기존 전력 솔루션에 ICT를 접목한 융복합 스마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스마트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향후 동남아 전력인프라 확충은 물론 스마트 에너지 운영시스템 구축에도 LS산전이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