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한 이시종 충청북도지사와 이희국 LG창조경제지원단장 사장 등이 LG생산기술원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사례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LG그룹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LG그룹과 충북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바이오 벤처에 첫 투자를 진행한다.
LG그룹은 바이오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난 5월 혁신센터와 조성한 100억원 규모의 '창조경제 바이오 펀드'의 첫 투자 대상 기업으로 지피씨알과 엠모니터를 선정, 각각 10억원의 투자 협약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지피씨알은 지난 2013년 11월 체내 세포를 미세한 크기로 연구하는 분자세포 분야 전문 연구원 3명이 서울대 생명공학연구실에 설립한 벤처기업이다. 이 회사는 사명(社名)과 동일한 단백질인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 즉 'G-단백질 연결 수용체'를 전문으로 연구해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엠모니터는 지난해 7월 설립된 분자진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제조 벤처기업이다. 분자진단이란 체내 세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분자 수준의 변화를 평가하는 진단기법이다. 엠모니터는 분자진단 기술을 활용한 감염질병 진단 의료기기 세계 시장 규모가 약 4조원에 달하는 만큼 이 분야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는 전략이다.
윤준원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초기 단계 바이오 기업 대상으로 이렇게 투자가 이뤄진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라며 "바이오 전용펀드를 통해 바이오 창업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사례 공유회도 함께 진행됐다. 스마트팩토리란 IT 기술을 활용한 공정 개선작업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여주는 시스템이다. 충북혁신센터는 약 30명의 LG생산기술원 전문 인력을 투입해 지금까지 29곳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해 생산성을 평균 20% 이상 높이는데 기여했다.
이 중 단열코팅액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제품 생산라인을 구축해 대규모 수출 계약까지 눈 앞에 둔 '지앤윈'의 사례가 공유됐다. 2013년 창업한 지앤윈은 지난해 3월 1번 코팅만으로도 3번 코팅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단열 코팅액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생산라인이 없던 이 회사는혁신센터의 도움으로 착공 4개월만인 지난 8월말 충북 옥천에 공장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LG생산기술원 전문가들은 제조 설비의 설계, 구축, 운영 등 제품 생산의 모든 과정에 대해 기술 지원을 했다. 특히 LG디스플레이의 패널용 유리가공 공정 기술력과 경험을 제공해 지앤윈 연구원들이 높은 품질의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