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LG전자, 청정기·가습기 새 브랜드 '에어케어' 사업 키운다

LG 퓨리케어 공기청정기(AS110WBW). /LG전자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LG전자가 에어컨, 제습기,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을 포함하는 에어케어(Air Care)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최근까지 에어케어 사업을 대표해 온 에어컨에 이어 공기청정기와 프리미엄 가습기도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전자는 28일 서울 여의도동 LG트윈타워에서 조성진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사업본부장(사장), 최상규 한국영업본부장(사장), LG전자 광고모델 손연재 선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조성진 사장은 "에어컨과 제습기는 '휘센(Whisen)' 브랜드, 공기청정기와 프리미엄 가습기는 '퓨리케어(PuriCare)' 브랜드를 사용해 에어케어 사업을 펼칠 것"이라며 "쾌적하고 건강한 공기에 대한 오랜 연구와 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LG만의 차별화된 에어케어 풀라인업을 통해 에어케어 분야의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날 공기청정기와 프리미엄 가습기를 통합한 신규 브랜드 '퓨리케어'를 론칭했다. 이달 한국 시장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해외시장 제품 출시에 맞춰 새 브랜드를 본격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3년 중국, 러시아, 중동 일부 국가 등에서 공기청정기와 프리미엄 가습기의 해외사업을 시작한 LG전자는 올해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으로 진출지역을 확대했다.

향후 미국을 비롯한 선진시장에 순차적으로 진입해 현재 10여개 국가에서 진행하는 퓨리케어 사업을 3년 안에 30개 국가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같은 기간 퓨리케어 제품의 글로벌 판매량은 올해의 5배 규모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이날 LG전자는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4종과 '퓨리케어' 프리미엄 가습기 5종을 국내 시장에 동시에 출시했다. LG전자는 이번 신제품을 대상으로 가전업계 최초로 핵심 부품인 인버터 모터 10년 무상 보증을 실시하기로 했다.

LG 퓨리케어 공기청정기는 국내 최초로 먼지 입자의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인 극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PM 1.0 센서를 탑재했다. 상단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농도를 수치로 표시하고 4가지 색상으로 공기 청정 상태를 알려준다. 공기가 깨끗하고 쾌적할수록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한다.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대표 제품인 모델명 AS110WBW에는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처음 탑재했다. LG전자 가전제품의 스마트홈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 '스마트싱큐(Smart ThinQ)'를 이용하면 외부에서도 스마트폰을 통해 실내 공기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실내 공기의 기간별 오염도나 필터 교체 시기, 청소 시기도 확인 가능하다.

그밖에 0.02㎛ 크기의 미세먼지를 제거해주는 3MTM 알러지 초미세먼지 필터,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해 스모그 원인 물질인 이산화황과 이산화질소 등을 제거해 주는 '하이브리드 탈취 필터', 바이러스 및 유해 세균을 제거해주는 '제균 이오나이저' 등이 적용됐다. 출하가격은 모델별로 30만~50만원대다.

프리미엄 가습기 신제품은 세균들이 기생하기 어려운 미세한 크기의 수분을 공급해준다. '퓨리케어' 가습기(모델명 HW500PAV)는 수조 속의 위생까지 고려해 UV(자외선) 살균 기능을 적용했다. 세계 최초로 UV LED를 탑재해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6시간마다 90분 동안 자외선으로 수조를 살균해 냄새와 물때를 최소화한다. 최대 가습량을 기존 400cc에서 505cc로 늘리고 가습 면적도 최대 28㎡에서 35㎡로 확대했다. 가격은 모델별로 20만~40만원대다.

LG전자는 어린 자녀를 둔 가정에서 프리미엄 가습기를 많이 쓰는 점을 고려해 모서리 부분에 곡선 디자인을 채택했고 LED 조명을 수유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