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자신을 중산층 이하라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 양극화 지수는 올해 1994년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해 소비생활의 양극화 정도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국민이 체감하는 소비생활의 경험과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5일 발표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994년 이후 지속적으로 소비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소비계층을 상류층, 중산층, 하류층을 각각 상·하로 나누어 6단계로 구분해 파악해 왔다.
조사 결과 자신의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65.2%로, 2013년 62.5%에 비해 2.7%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중산층 상'은 3.0%포인트 감소한 반면 '중산층 하'는 5.7%포인트 올랐다. 소비생활의 양극화 정도가 심해진 셈이다.
>
최근 1년간 경험한 소비생활 전반의 만족수준은 100점 만점에 평균 63.8점으로 나타나 2013년 만족도 71.6점에 비해 7.8점 낮아졌다. 이는 소비생활에서 기대와 요구의 만족도가 낮아진 것으로 의미한다.
소비분야별로는 식생활, 의료, 문화·여가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각각 66.5점, 64.2점, 64.0점이었다. 반면 경조사지원, 뷰티·헬스, 금융·보험 순으로 낮아 각각 59.1점, 60.6점, 61.2점이었다. 경조사지원서비스는 2013년에 이어 올해도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분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제주, 서울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경남, 충북 순으로 낮았다. 제주와 서울의 경우, 식·주·의생활·의료분야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경남과 충북은 소비분야 대부분의 만족도 점수가 낮았다.
소비생활 분야 전반에서 연간 어느 정도로 문제를 경험하는지 '소비자문제경험률'을 측정한 결과, 평균 59.6%로 나타나 100명 중 약 60명은 연간 최소 1회 이상 소비자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문제 유형별 경험률을 살펴보면 품질대비 비싼 가격이 25.5%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정보 부족 12.6%, 품질불량 11.9%, 부당 표시·광고 10.6% 순이었다.
소비생활 분야별 소비자피해 경험률은 생활 5.7%, 의생활 5.4%, 주생활 2.6%, 의료서비스 2.5%, 정보통신서비스 2.3% 순으로 높았다. 식생활과 의생활 등 구매빈도가 높고 생활 유지를 위한 기본 소비 분야에서 소비자피해가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배순영 소비자시장연구팀 팀장은 "주생활, 정보통신, 금용·보험 등과 같이 만족도가 낮고 피해 경험이 많은 분야는 소비자정책 수립 시 우선 순위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면서 "아울러 충북 등 일부 지역소비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고 피해 경험률은 높아 지방소비자행정 강화와 소비자역량 증진 등의 개선방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