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열심히 살면 마땅한 보답이 언젠가는 돌아올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나이를 먹고 세상을 더 알게 될수록 그 믿음이 헛됨을 느낀다. 군대에서 들었던 '줄을 잘 서야 한다'는 말이 사실은 바깥 사회에서도 진리처럼 통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 우리는 소신을 버리고 속물이 돼야 한다는 위험한 유혹과 마주하게 된다.
'극비수사'의 공길용(김윤석) 형사는 정의로운 형사다. 다른 형사들처럼 관례와 같은 촌지는 마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착한 형사는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속물 근성에 젖지 않고 소신이 있다는 점에서 그는 정의롭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사건을 해결하는 것이지 사건을 통해 돈과 명예 같은 이익을 얻는 것이 아니다.
그런 공길용 형사에게 유괴사건이 주어진다. 재력가의 딸이 유괴된 사건이다. 사건 발생 이후에도 유괴범으로부터 연락이 없자 공길용 형사는 사건을 극비리에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수사는 쉽지가 않다. 자신을 탐탁치않게 여기는 관할 형사들의 경계 어린 시선 때문이다. 그럼에도 공길용 형사가 사건을 맡아야 하는 이유가 있다. 딸이 살아있다고 주장하는 김중산(유해진) 도사의 한 마디, 바로 "공길용 형사의 사주여야만 유괴범을 잡을 수 있다"는 말 때문이다.
희대의 유괴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극비수사'는 사건의 해결 과정에는 큰 관심이 없다. 인터넷 검색만 하면 범인 검거 과정이 다 나오는 실화를 굳이 미스터리하게 풀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 곽경택 감독의 관심은 실제 사건이 벌어졌던 1970년대의 사회적인 분위기를 그리는데 있다. 최루탄 연기가 자욱한 데모 현장 속 병아리들, 그리고 비릿한 생선과 금고 속에 쌓인 돈을 오버랩시키는 오프닝에는 영화가 시대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가 잘 담겨 있다.
공길용 형사, 그리고 김중산 도사에게 중요한 것은 "범인을 잡는 것"이 아닌 "아이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은 자신의 이익만을 쫓으려는 다른 형사들 앞에서 번번히 실패를 거듭한다. 모든 것을 포기하려고 마음먹는 순간, 김중산 도사의 한 마디가 힘을 불어넣는다. "내게 남은 건 딱 하나, 소신뿐이네요."
아이를 살리겠다는 소신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두 사람. 누군가는 이들에게서 지난해 한국사회가 겪었던 어떤 사건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극비수사'는 굳이 정치적으로 접근하지 않아도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1978년과 2015년, 정확히 37년이 지난 지금도 소신 있게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의 삶은 늘 무시당하고 천대받는다. 영화는 이런 슬픈 현실을 날카롭게 바라보고 있다.
여기서 영화가 끝났다면 서글픈 마음으로 극장 밖을 나섰을 것이다. 그러나 곽경택 감독은 사건이 종결된 뒤에도 이들의 뒷이야기를 조금은 길게 펼쳐 보인다. 그것이 소신 있게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작은 위로임을 알아채기란 어렵지 않다. '미운오리새끼'를 보면서 곽경택 감독이 앞으로도 힘을 빼고 여유로운 태도로 영화를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극비수사'가 그 바람을 이뤄줬다. 15세 이상 관람가. 6월 18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