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아웃렛 고양터미널점 외관 전경. 롯데쇼핑 제공
대형마트 롯데마트(대표 김종인)가 정부의 출점제한 조치로 신규 점포 개설에 발목이 잡히자 아웃렛으로 업태를 변경하며 골목상권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롯데쇼핑(회장 신동빈)은 아웃렛을 통한 롯데마트 출점에 대해 쇼핑과 레저를 결합한 문화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역상인들은 롯데마트 등은 정부의 골목상권보호정책에 따라 출점이나 영업시간에 제한이 있지만 아웃렛은 적용 대상에 빠져있어 꼼수 출점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지하도상가연합회는 지난달 22일 롯데백화점 인천점 앞에서 '롯데마트 항동점, 아웃렛 변경 규탄 대회'를 열었다. 롯데쇼핑은 중구 항동 롯데마트가 있던 자리에 오는 5~6월 지상 6층 규모의 대형 아웃렛을 열 계획이다. 롯데마트로는 경쟁력이 없자 아웃렛으로 업태를 변경하고 사업 확장에 나선 것이다.
인천시 상인들은 롯데마트 항동점이 팩토리 아웃렛 형태로 변경할 경우 중저가 의류를 주로 판매하는 지하상권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상인들은 중소기업청 지정 전통상점가인 동인천지하아케이드, 인현지하상가, 새동인천지하상가 3곳이 항동점과 3㎞ 거리에 불과한데도 롯데마트 측이 제출한 상권영향평가서에서 제외됐다고 주장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300여명의 지하상가 업주들은 "3㎞도 채 떨어지지 않은 롯데마트 항동점 인근에 동인천역세권 지하도 상가의 80%가 패션 의류·잡화를 팔고 있지만 롯데마트는 아웃렛으로 업종을 바꾸면서 상권영향평가서에서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면서 "대형 유통재벌들 때문에 그나마 이어온 생계수단을 잃게 됐다"고 성토했다.
서울 마포구 지역의 소상공인단체와 상인들도 롯데가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내 대형 복합쇼핑몰을 건설하는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롯데는 상암동 DMC 내에 약 10만3000평 면적의 복합쇼핑몰을 짓고 대형마트를 비롯해 백화점, 영화관 등 각종 편의시설을 입주시킬 예정이다.
마포구 지역 상인들은 DMC 롯데 복합쇼핑몰이 들어서는 반경 5~10km 내에는 대형마트 14개를 비롯해 백화점 6개, 쇼핑센터 11개, SSM 81개 등이 있는 상황에서 롯데복합쇼핑몰로 대형마트가 들어설 경우 골목상권은 물론 지역경제가 쑥대밭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상암동DMC 롯데복합쇼핑몰 강행반대 마포구 비상대책위'와 전국유통상인연합회 등은 지난 3월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포구·은평구·서대문구·영등포구 등 인근 지역 중소상인들은 바람 앞에 등불 신세가 됐다"고 하소연했다.
경남 진주와 경북 포항 등에서도 롯데마트 등을 포함하는 롯데 아웃렛 사업이 지역 소상공인들과 충돌하고 있다.
전국의 지역 상인들이 롯데마트의 아웃렛 입점을 반대하는 이유는 지역 상권이 붕괴될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영등포 신세계의 타임스퀘어, 경기도 파주의 신세계 첼시, 롯데 프리미엄몰 아웃렛의 반경 5~10km 내의 상점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들어선 3년 후 인근 지역 점포당 매출이 출점 전보다 월평균 약 1300만원, 연평균 약 1억6000만원이 줄었다. 이는 점포당 매출이 대형쇼핑몰 입점 전보다 46.5% 감소한 수치다.
특히 대형마트를 낀 아웃렛 입점의 파장은 슈퍼마켓이나 식료품 점포에 그치지 않고 패션업종의 파장이 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3월에 실시한 '대기업 아웃렛 입점에 따른 지역상권 영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패션업종 관련 중소기업 84.2%가 대기업 아웃렛 입점 후 매출이 줄었다고 답했다.
전국상인연합회 관계자는 "롯데마트가 말로는 상생을 외치면서 대형마트에서 아웃렛으로 명칭만 바꿔 전국적으로 점포를 늘려가고 있다"며 "대형마트의 경우 그나마 골목상권보호정책으로 상권이 보호되는 측면이 있으나 아웃렛이나 복합쇼핑몰은 여기에도 빠져 있어 지역상권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