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15' 삼성전자 전시장에서 선보인 삼성 SUHD TV의 모습./삼성전자 제공
현존하는 LCD(액정표시장치) 기반의 TV 중 가장 진화한 형태인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 TV의 액정필름 재료 값이 떨어지면서 TV 제품 가격의 인하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0일 시장조사기관 IHS와 TV 업계에 따르면 55인치 퀀텀닷 TV 한 대에 쓰이는 액정필름 재료 가격은 최근 100달러 아래로 하락했다.
퀀텀닷 TV의 원리는 전류나 빛을 받으면 각각 다른 색을 발현하는 양자(量子·퀀텀)를 나노미터(㎚·10억분의 1m) 단위로 주입한 반도체 결정을 일종의 필름 형태로 부착해 디스플레이로 만드는 방식이다.
문제는 양자 결정이 고온에서 매우 불안정한 탓에 일반적인 LCD 패널을 만들 때처럼 디스플레이에 필름을 입히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채택된 것이 '큐디시트(QD sheet)'로 불리는 원격광학구조의 증착 과정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그냥 필름을 붙이는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재료 물질을 필요로 하면서 55인치용 패널 필름을 증착하는 재료 값만 100달러가 훌쩍 넘었다.
최근 퀀텀닷 TV가 업계의 주목을 받으면서 여러 업체가 퀀텀닷 재료 생산에 뛰어들자 이런 문제가 해결됐다.
진공유리튜브에 양자 결정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제조공법이 바뀌면서 효율이 향상되기 시작했다. 수율이 좋아지면서 액정필름 재료 값이 100달러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여기에 유럽연합(EU)에서 2018년까지 소량의 카드뮴계 퀀텀닷 재료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TV 제조에 허용하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 것도 희소식이다.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이전부터 입자를 증착하는 과정에 소량의 카드뮴이 사용된다는 점 때문에 논란이 일었지만 삼성과 LG는 카드뮴 없는 기술력을 내세웠다.
삼성·LG와 달리 일본 소니와 중국 TCL은 카드뮴계 퀀텀닷 재료를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뮴계 재료를 사용하면 발광효율이 친환경 재료를 쓴 것보다 더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퀀텀닷 TV 제품 가격도 인하될지가 업계의 관심사다. 삼성 SUHD TV는 최근 국내 출시행사에서 소개된 제품 가격이 55인치형 549만원, 65인치형 790만원이다. LG전자의 신제품도 비슷한 가격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TV 업계 관계자는 "최상급 모델에 적용한 퀀텀닷 TV 재료 가격이 떨어지면 완제품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걸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