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허 주파수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통합해 최대속도 450Mbps를 구현, 실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에릭슨은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인 CES 2015에서 LTE-U라고 불리우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LTE 기술인 라이센스 지원 엑세스(License Assisted Access, LAA)를 발표했다.
LAA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모바일과 와이파이 기기 간 무선자원 할당 기능을 기반으로 한 와이파이 공존 기술을 제공한다. 본 기술은 퀄컴(Qualcomm Incorporated )의 자회사인 퀄컴 테크놀로지(Qualcomm Technologies Inc.)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개발됐다.
또한 SK텔레콤을 비롯하여 버라이즌, 티모바일과 같은 선도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고객들에게 최상의 네트워크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에릭슨과 공동으로 LAA 성능을 검증했다.
에릭슨의 LAA 기술은 기존의 와이파이 사용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5GHz 대역에서 시분할 무선자원 할당 기능을 기반으로 한 와이파이 공존 기술을 제공한다. 시분할 무선자원 할당 기능은 와이파이와 LTE 사용자들이 해당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서 사용하여 간섭을 회피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술이다.
중대형 빌딩용 에릭슨 라디오 닷 시스템에 이어 에릭슨은 2015년 4분기부터 LAA를 실내 스몰셀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예정이다. 실내 스몰셀 포트폴리오에는 50,000ft2 (약 4,645m2) 이하 소형 건물용 솔루션인 에릭슨 RBS 6402도 포함되어 있다.
SK텔레콤의 박진효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LTE-A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차세대 통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는 에릭슨, 퀄컴과 함께 450Mbps 속도의 LAA 기술 및 와이파이 공존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에릭슨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