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전문가, "버즈할리파보다 안전"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위가 12일 잠실 롯데호텔에서 구조안전성에 대해 시공기술 발표회를 개최했다.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위원회가 12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시공기술 발표회를 열고 제2롯데월드의 구조와 지반 모두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발표회에는 제2롯데월드의 구조설계를 맡은 미국 레라(LERA)사의 창업자 레슬리 얼 로버트슨, 토목설계를 맡은 영국 에이럽(ARUP)사의 홍콩지사 부사장 제임스 시즈 왕초, 대한건축학회 홍성걸 서울대 교수, 한국콘크리트학회 부회장 박홍근 서울대 교수, 한국건축기술사회 서규석 회장 등이 참석했다.
영국 에이럽사의 제임스 홍콩지사 부사장은 롯데워드타워의 지반을 현재 최고층 건물인 아랍에미리트(UAE)의 버즈할리파와 비교·설명했다.
제임스 부사장은 "초고층 건물은 무거운 하중으로 침하되기 마련인데, 롯데월드타워의 지반은 버즈할리파의 예상 침하량 절반 수준으로 견고한 편"이라며 "지반 침하량을 조사한 결과 롯데월드타워는 예측 값 39㎜의 4분의 1도 안 되는 9㎜의 침하량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건물을 짓기 전 타워로 인해 주변 지역의 침하가 얼마나 일어날 수 있는지 연구를 마쳤다"며 "최대치인 39㎜가 침하될 경우 주변에서는 2㎜의 내려앉는 것으로 예측돼 사실상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조설계를 맡은 LERA사의 창업자 레슬리 얼 로버트슨은 "롯데월드타워는 건물 최상부에서 순간 최대풍속 128m/sec에 견디고 건물은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 LA의 지진하중보다 더 큰 하중에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구조물의 연속붕괴방지설계라는 개념을 적용해 추가적인 안전성도 확보"고 밝혔다.
구조 안전성에 대해 박홍근 교수는 "롯데월드타워는 4대의 위성과 기초 하부 지반부터 꼭대기까지 671개 센서가 작동,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적용됐다"며 "현재 지반 침하와 수평 변형을 측정한 결과 설계 단계 시 예상 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관리된 상태"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한편,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위원회는 초고층 프로젝트 공사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매달 전문가를 초청해 시공기술 발표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에는 각각 균열과 소음·진동에 대한 발표회가 있었으며 앞으로는 초고층 공사, 초고층 안전관리, 측량, 양중, 특수구조물 공사, 엘리베이터 공사 등에 대해 점검·설명하는 자리를 가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