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곡이 여자 98년 10월 23일 10시
Q:고등학생인 저의 딸이 공부의 중요성을 별로 느끼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공부를 집중해서 파고들면 성적이 잘 나올 것 같지만 대충 설렁설렁 하는 것이라 걱정입니다. 공부는 중간정도의 서열은 되는데 부모로서는 더욱 열심히 하기를 기대 하지만 본인은 별로 긴박감을 안 느끼고 있습니다. 공부를 잘하는 것도 사주팔자 안에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있으나 어느 방향으로 전공을 해야 이다음 사회생활에 애로가 없겠는지요. 공부에 철이 언제쯤 들겠습니까? 딸은 교육계통으로 생각을 하고 있는데 선생 노릇 하기가 어려운 세상이라 걱정입니다.
A:젊어서는 학력이며 외모에 치중하지만 결혼 적령기가 되어서는 조건 좋고 외모며 여타 여건이 좋은 배우자를 만나는 것이 중요 관심사가 되다가 아이를 낳고 나이가 들면서는 자녀들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자라느냐가 초미의 관심사가 됩니다. 그래서 자랄 때 부모님의 성화와 등살에 떠밀려 불만이 많다가도 어느 순간 돌아서면 자기 자신도 그러한 모습이 되어버린 것을 깨닫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친구들 사이에서도 본인들의 학력보다 아이들이 얼마나 좋은 대학엘 들어갔느냐에 친구들의 어깨가 올라가기도 하고 축 쳐지기도 합니다. 자녀의 사주에 문창을 지니고 태어나면 시키지 않아도 공부에 욕심을 냅니다. 문창이 있고 학구적인 성과가 좋은 경우에 대학입시에서 빛을 보며 학업성취가 발현이 되어 지도편달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게 됩니다. 그러나 자녀가 문창성이 있다 해서 그 삶이 반드시 미래를 보장받는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자녀의 복덕은 부모 특히 어머니의 인성과 덕성이 바탕이 됩니다. 훌륭한 인성과 덕성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는 혹여 문창성의 복은 못 받아서 높은 학력은 못 갖출지 몰라도 자손 흥성의 복전은 십중팔구입니다. '공부를 잘해야만 성공한다.'라고 하는데 그것은 지금 자신들이 이렇게 고생하고 있는 것이 '공부를 못했기 때문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해가 갈수록 자식들에 대하여 공부에 대한 집착은 심해진다고도 보는데 다행히 사주조상자리에서 복덕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좋은 성적은 아니라할지라도 교육계는 무난하게 입학 할 수 있으며 교육 언론 계통으로 진출하여 좋은 남편을 만납니다. 음식 솜씨가 좋고 나아차가 많이 나는 남자와 연분이 있어 성혼에 이릅니다.
김상회역학연구원
(02)533-8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