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 66% 넘어…인천 중구 가장 낮아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645만2273가구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지난해 60.29%보다 6.22%포인트 늘어난 평균 66.51%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국 시·군·구에서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광주 광산구(81.02%)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인천 중구(45.06%)였다.

지역별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단위: %)



28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10월 4주차 시세 기준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광주가 79.18%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대구 75.76%, 충남 74.65%, 전북 74.34%, 경북 73.31%, 충북 71.71%, 울산 71.68%, 전남 71.58%, 대전 70.19% 순으로 9개 시·도에서 전세가 비율이 70%를 넘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화성시가 77.42%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군포시 76.26%, 경기 의왕시 73.91%, 경기 안양시 71.93%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주변에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어 근로자 유입이 많은 곳으로 지역 내 신도시가 위치하고 있거나 신도시와 접해 있는 등 기반시설도 좋아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 비율이 높게 형성됐다.

서울에서는 성북구가 71.85%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성북구는 길음뉴타운 개발로 2005~2010년 사이 입주한 새 아파트 전세가가 올라 전세가 비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뒤를 이어 중구(71.14%), 동대문구(71.11%), 서대문구(70.87%), 관악구(70.07%) 등에서 70%를 넘었다.

인천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부평구가 69.49%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남동구 67.54%, 계양구 67.28%, 남구 65.50% 순이었다.

수도권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상위 10곳(단위: %)



지방에서는 광주 광산구가 81.02%로 전국에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충남 계룡시 79.25%, 광주 남구 79.23%, 대구 달서구 79.18%, 광구 북구 79.17% 순이었다.

광주는 5개 모든 구에서 전세가 비율이 70%를 넘었다. 광주는 평동산업단지, 광주하남산업단지, 기아자동차광주공장 등 대규모 산업단지로 근로자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전세가가 높게 형성됐다. 대구 역시 대구성서1, 2, 3, 4차 산업단지가 집중된 달서구의 전세가가 높았다.

충남 계룡시는 대전우편집중국, 왕대공단, 계룡산업단지 등에서 근로자 수요가 많은데다 대전 시내와 가까운 반면 전세가가 저렴해 젊은 직장인 등 수요가 늘면서 전세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45.06%를 기록한 인천 중구였다. 뒤를 이어 경기 과천시 45.54%, 충북 단양군 47.28%, 서울 강남구 47.83% 등에서 전세가 비율이 50%를 넘지 못했다.

한편, 당분간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몇 년간 이어진 전세난으로 전세물건이 부족한 상황에서 저금리로 인한 전세물건의 월세 전환이 늘고 있어 전세물건이 더욱 귀해졌으며, 강남 재건축 단지 이주수요도 점차 늘어날 예정으로 연말에도 전세가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