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임의택의 車車車]쌍용 코란도 투리스모 9인승, 무엇이 달라졌을까?



지금 국내 완성차업체 가운데 가장 분위기가 좋은 곳은 쌍용자동차다. 올해 2월까지 내수 누계 실적은 30.8%나 증가했고 수출도 2.9% 증가하며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쌍용차의 내수를 이끈 모델은 코란도 스포츠와 뉴 코란도 C이고, 그 뒤를 코란도 투리스모가 따르고 있다.

2013년 2월에 첫 출시된 코란도 투리스모는 사실상 로디우스의 페이스 리프트 차종이다. 로디우스가 처음 등장한 때가 2004년 5월이니 올해로 11년째 생산하는 셈이다. 비록 겉모습과 실내 일부분을 바꾼 모델이지만, 효과는 꽤 괜찮았다. 로디우스의 못생긴 디자인을 외면했던 많은 소비자들이 코란도 투리스모를 주목하고 있다.

이번에 시승한 9인승 모델은 근래 주춤했던 인기를 되살리려는 의도에서 나왔다. 승합차의 최고속도가 110km로 제한되면서 이 규제를 피할 수 있는 9인승을 내놓은 것이다.



시트 구성은 11인승과 기본적으로 같고 2열 시트의 중앙 좌석을 없앤 게 차이점이다. 2개로 재편성된 2열 시트는 쿠션의 옆 부분이 두툼해지면서 착석감이 좋아졌다. 그러나 성인 아홉 명이 타기에는 실내가 넉넉지 않다. 3열 중앙 시트는 헤드레스트가 없어 성인이 타기 위험하고, 짐을 실을 경우 사실상 6명 정도가 적정한 승차인원이다.

이러한 실내구성은 차체 크기에 비해 비효율적이다. 휠베이스(앞뒤 바퀴 축간 거리)는 3000mm인데 승차인원을 늘리려다 보니 시트를 4열로 배치할 수밖에 없었고 시트간 거리가 좁을 수밖에 없다. 반면, 토요타 시에나는 휠베이스가 3030mm인데 7인승이고 시트가 3열로 구성됐다. 게다가 시에나는 3열 시트를 전동방식으로 접어서 바닥에 수납하는 기능까지 있어 넉넉한 짐 공간이 만들어진다. 코란도 투리스모는 4열을 앞으로만 접을 수 있어 화물공간이 크지 않다.



엔진은 기존에 쓰던 155마력 2.0 디젤 타입을 그대로 얹었다. 1500rpm부터 발휘되는 최대토크는 중저속에서 나름 괜찮은 가속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최대토크 구간인 2800rpm을 넘어서면 힘이 확연히 떨어지면서 가속이 느려진다. 시승 내내 혼자 탔기 때문에 이 차의 정원인 9명이 탔을 경우에는 가속이 더 힘들어질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코란도 투리스모의 가장 강력한 경쟁상대는 오는 5월 등장할 기아차의 신형 카니발이 될 것이다. 9인승과 11인승으로 출시되는 신형 카니발은 북미 시장을 겨냥해 세련된 디자인과 혁신적인 장비로 무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런 차종에 대응하기에는 쌍용 코란도 투리스모의 상품성이 미흡해 보인다. 가격은 2705만~3567만원으로 기아 카니발·현대 스타렉스에 비해 비싸다.

쌍용 코란도 투리스모 9인승

엔진 파워는 개선이 필요하다. 커튼 에어백의 부재(不在)도 아쉽다.

★★(평점은 별 다섯 개 만점. ☆는 1/2)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