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 조사에 따르면 7월 2주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2%, 전세가 변동률은 0.03%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금주도 하락했다. 6월말로 취득세 감면이 종료되고 영구 세금 감면에 대해 논의가 되고 있긴 하지만 구체적인 사항이 없는데다 하반기엔 아파트 매매가가 더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자 매수문의도 사라졌다.
특히 본격적인 장마철로 들어서자 간간히 거래되던 소형 주택형도 거래가 멈췄다.
전세 시장은 금주도 오름세로 마감했다. 장마에도 불구하고 전세 수요는 꾸준한 편이지만 물건이 없어 지역적으로 전세가가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2% 내렸다.
지역별로는 강동구(-0.08%), 종로구(-0.07%), 강남구(-0.05%), 성북구(-0.03%), 동대문구(-0.03%), 영등포구(-0.02%), 서초구(-0.01%), 금천구(-0.01%), 강서구(-0.01%) 순으로 내렸고 다른 곳은 변동이 없었다.강동구는 매매 거래가 전혀 없다. 장마철이라 그런지 매수문의 조차 많지 않고 재건축 아파트들은 일제히 하락했다.
고덕동 고덕현대시영 62㎡는 500만 원 내린 4억7250만~5억500만 원이고 둔촌동 둔촌주공4단지 104㎡는 500만 원 내린 6억5000만~6억7500만 원이다.
강남구도 문의도 없고 거래도 없다. 개포동 주공단지들이 각 면적별로 500만 원에서 1000만 원 정도 하락했지만 거래는 어렵다.
개포동 주공1단지 59㎡는 500만 원 내린 10억3000만~10억6000만 원이고 주공6단지(고층) 114㎡는 1250만 원 내린 8억500만~8억4500만 원이다.
동대문구는 매물은 종종 나오고 있지만 매수세가 전혀 없어 시세를 가늠할 수 없는 정도다. 답십리동 답십리래미안 108㎡는 1,500만 원 내린 3억8500만~4억2000만 원이고 139㎡는 1500만 원 내린 5억1000만~5억5000만 원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0.03% 올랐다.
지역별로는 종로구(0.10%), 동작구(0.07%), 강남구(0.06%), 송파구(0.06%), 영등포구(0.05%), 도봉구(0.05%), 은평구(0.04%), 강서구(0.04%), 노원구(0.04%), 양천구(0.03%), 광진구(0.03%), 서초구(0.03%)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