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산·기금 요구액이 365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보다 6.6% 늘어난 것이다. 보건·복지·노동 부문에만 소요되는 예산이 100조원을 돌파했다.
9일 기획재정부는 부처가 요구한 내년 예산 규모가 364조7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올해 예산(추가경정예산안을 제외한 342조원)보다 6.6%(22조7000억원) 늘어난 액수다.
예산 요구액은 260조원으로 6.7%(16조3000억원), 기금은 104조7000억원으로 6.5%(6조4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예산 요구 증가율은 2011년의 6.9%, 2012년 7.6%보다 낮지만 지난해의 6.5%보다는 0.1%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번 예산 요구는 공약가계부 추진 계획을 반영해 국정과제 중심의 요구가 많았다.
12대 분야별 요구 현황을 보면 교육 부분 예산 요구액이 58조3000억원으로 올해 예산대비 17.1%(8조5000억원) 늘어나는 등 7개 분야에서 예산 증액이 요청됐다.
보건·복지·노동 등 분야는 11.3%(11조원) 늘어난 108조4000억원으로 100조원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국방과 일반·지방행정 분야 예산 요구액 증가율은 각각 7.4%, 연구·개발(R&D) 5.7%, 공공질서·안전 5.6% 등이다.
게임과 영화 등 문화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등에 쓰일 문화·체육·관광 분야 예산 요구액은 1000억원 늘었다.
반면 사회간접자본(SOC), 산업, 환경, 농림수산식품, 외교·통일 등 5개 분야는 예산이 5조1000억원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SOC 예산 요구액은 21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2.9%(3조1000억원) 급감했다. 환경 분야도 6조1000억원으로 3.6%(2000억원) 삭감된 예산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