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 상승은 국지적, 하락은 동시다발적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3주 연속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다시 침체기로 들어서고 있는 모습이다. 3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은 특정 지역에 국한 된 것이 아닌 서울 전체로 확산되면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3년 들어 4월 19일~5월17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기간에 강남 4구 지역인 강남, 강동, 서초, 송파(이하 강남 4구)가 상승을 주도한 것과는 달리 최근 3주간 하락세는 강남 4구 외의 지역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가격 하락이 나타나고 있다.

16일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4월 19일~5월17일 동안 서울에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단지 중 강남 4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주택형 58.8%, 세대수 67.0%, 상승액 84.2%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최근 3주간 서울 가격 하락아파트 중 강남 4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주택형 35.4%, 세대수 38.6%, 하락액 66.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 상승기에는 지역이나 개별 단지들의 국지적인 호재가 반영되면서 가격 상승이 일부 지역에 국한되는 모습이었으나, 하락기에는 서울 전지역에서 하락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성헌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과장은 "이런 가격 움직임은 침체되어 있는 실물경제와 가계부채 문제, 수요자들의 위축된 수요심리가 개선되지 않아 강남 4구의 가격 상승이 서울 전체로 확산되지 못하면서 상승동력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난 주 매매시장은 취득세 감면 6월 종료 영향으로 매수 움직임이 둔화되면서 서울 ▼-0.07%, 신도시 ▼-0.01%, 수도권 ▼-0.01% 하락했다.

취득세 감면이 종료되는 6월 말까지 계약부터 잔금까지 치루기에는 시일이 촉박하여 매수움직임은 조용한 상태이고 저가매물이 소진된 후 다소 오른 매매가격에는 수요자들이 부담을 느껴 다시 하향 조정 되고 있다.

리모델링 호재가 있는 신도시도 이미 가격에 선 반영되어 있어 정부가 내놓은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개선 방안'에도 가격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전세시장은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나오는 매물이 없어 가격 상승세가 꺽이지 않는 모습이다.

▲서울(0.06%) ▲신도시(0.01%) ▲수도권(0.02%) 오르면서 전주보다 상승폭이 더 커졌다.

전세시장은 수요압박 보다는 시장에 나오는 물건이 없는 점이 전세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의 전세세입자들이 매수로 전환되거나 이사를 하기보다는 기존 전세계약을 연장하고 있어 전세매물이 귀한 상태다. 전세시장이 비수기에 들어서면서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모습은 없지만 전세물건이 귀해 일부 지역에서는 신혼부부가 전세물건을 잡기 위해 미리 움직이고 있는 모습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